-
-
초압축 교양수업 - 6000년 인류사를 단숨에 꿰뚫는 60가지 필수 교양
임성훈 지음 / 다산초당 / 2025년 5월
평점 :
6000년 인류사를 단숨에 꿰뚫는 60가지 필수 교양
'제국'은 '황제가 다스리는 나라'라는 의미로 하나의 나라가
아니라 민족적·문화적으로 다른 나라들까지 통치하는 국가
체계다. 국가 위의 국가라고도 할 수 있겠다. 점령한 나라에
총독을 파견해 다스렸던 로마 제국이나 대영 제국, 유럽 각지에
여러 왕국을 거느렸던 프랑스 제국, 거대한 땅에 여러 칸국을
세웠 통치했던 몽골 제국이 대표적이다.
소크라테스는 온전한 지혜란 오직 신만이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인간은 무지하다는 것이 그의 기본 전제였다.
그리고 무지를 자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인간으로서 인간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삶이 바로 좋은 삶이다.
우리를 인간답게 해주는 모든 특성을 잘 갖춘 삶이 바로 선을
추구하는 삶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행복은 그저 잘 먹고 잘사는
것이 아니다. 그는 인간이 존재의 목적에 맞는 삶을 살 때 비로소
행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
장자는 모두가 슬퍼하고 두려워하는 죽음마저도 다르게 바라보았다.
가만히 사색해 보면 생명은 본래 없던 것에서 생긴 것이니 본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오히려 기쁜 일이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올 때 우리가 기뻐하듯이 말이다.
계속해서 실패만 거듭한 십자군 전쟁의 숨겨진 동력은 욕망이었다.
하나는 로마 교회의 욕망, 다른 하나는 세속의 욕망이었다.
칭기즈 칸과 그의 몽골 제국은 역사에 어떤 흔적을 남겼을까?
첫째, 몽골 제국은 '팍스 몽골리카'를 이루어 13~14세기 유라시아에
안정을 가져왔다. 몽골은 동아시아에서 동유럽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다스렸다.
둘째, 몽공 제국의 활약으로 동양의 기술이 서양으로 전해질 수
있었다.
셋째, 몽골 제국은 유럽에 흑사병을 퍼뜨려 중세 사회의 붕괴를
촉진했다.
행복은 모든 선하고 좋은 것들을 자신 안에 다 모아서 가지고
있는 완벽한 상태이다.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제3권>
근대 조각의 창시자 오귀스트 로댕의 가장 유명한 작품 [생각하는
사람]도 단테의 [신곡]에 영감을 받아 받아 만들어진 작품이다.
로댕의 대형 작품 [지옥의 문] 안에서 벌거벗은 한 남자가 깊은
생각에 빠져 있다. 바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사람들은 권력을 가진 자를 따르면서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곤란함을 피하려고 등 돌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지도자라면
이런 사람들의 나약하고 이기적인 본성을 꿰뚫어 보아야 한다.
때로는 사람들에게 두려움을 심어주어 감히 배신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자유로운 인간은 죽음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며, 죽음이 아닌
삶에 대한 명상을 통해 지혜를 얻는다.
<스피노자>
내용(직관) 없는 사유(개념)는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
<칸트, 순수이성비판>
헤겔은 이성을 통해 변증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인식할 수 없다고 단정 짓지 말고 끊임없이 생각을 발전시키다
보면 물자체를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인간 해방의 철학자였다.
<에리히 프롬>
냉정은 기본적으로 이념대립이었지만 헤게모니 쟁탈전, 각국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기도 했다. 냉전의 원인은 소련과 미국
양측에 모두 있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서 도서를
'협찬' 받았습니다.
@dasanbooks
@chae_seongmo
#초압축교양
#임성훈 #다산초당
#채성모의손에잡히는독서
#교양 #제국 #철학 #행복 #몽골
#전쟁 #권력 #지혜 #변증법 #냉전
#책 #도서 #독서 #철부지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