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핍한 날의 벗 태학산문선 101
박제가 지음, 안대회 옮김 / 태학사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열하일기의 박지원를 필두로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등이 모여 술을 마시고 글을 논평하고 이야기를 나눴다는 그 시절을 그려보았다. 왜 이리 가슴이 뛰던지. '북학의'의 저자로만 기억되었던 박제가. 그는 부조리한 세상을 바꾸고 싶었지만 결국 뜻을 펼치지 못하고 변방에서 생을 마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의 삶을 실패했다 말할 수 없다. 청나라에 대한 호감이 때때로 도가 넘었다 싶은 때도 있지만, 그것도 결국 시대의 한계를 마주한 자의 심정이었다 변호하고 싶다. 서얼의 수는 계속해서 늘었지만 조선 초에 만든 서얼 차별 법은 변하지 않았다. 정조 대에도 서얼 차별을 금지해달라는 상소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권력을 가진 자들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그 세상 속에서 능력이 있음에도 내보일 기회를 얻지 못했던 박제가의 절망은 얼마나 컸을까.  

이 책의 두께는 그리 두껍지 않지만 서얼이었기에 능력이 있어도 뜻을 펼치지 못했던 울분, 무능력한 데다 권위의식에 쩔어 희망없어 보이는 지배층에 대한 분노, 굶주리는 백성들과 차별받는 사람들에게 느끼는 안타까움 등 박제가가 느꼈던 다양한 감정과 생각을 짧게나마 맛볼 수 있었다. '백탑에서의 맑은 인연' '꽃에 미친 김군'이나 '궁핍한 날의 벗' '기술자의 대우' '개혁의 방안' 등이 좋았다. 또 어린 시절 글자 연습을 했던 책을 복원하며 옛추억을 되새기는 모습이(어린 날의 맹자) 무엇보다 따스히 가슴에 와닿았다. 낙엽에 미끄러져 넘어질뻔하다 일어나서는 누가 볼까 부끄러워 단풍잎 하나를 들고 아무렇지 않게 서 있었다는 부분(묘향산 기행)에서는 킥킥대며 웃었다. 그 모습도, 그 사실을 담담히 써내려간 모습도 왠지 웃기던걸. '묘향산 기행'에서는 무엇보다 박제가의 서정적인 면을 볼 수 있었다. 산속에서 음악을 들으니 어떻더냐 묻는 이에게 '나의 귀는 다만 물소리와 스님의 낙엽 밟는 소리만을 들었노라' 대답한 그는 아마도 낭만적인 사람이었을 것이다. 낭만을 아는 사람만이 변화를 꿈꿀 수 있다. 그것이 실현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꿈꾸는 것을 나무랄 수 없다. 우리는 모두 뜨거운 피가 흐르는 사람이니까. 다만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지. 나는 내 꿈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 그로 인해 절망해본 적은 있을까. 현실의 벽을 깨고자 했던 박제가의 모습이 나를 돌아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