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모사 1867 - 대만의 운명을 뒤흔든 만남과 조약
첸야오창 지음, 차혜정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를 잘 알지는 못하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더 알고 싶은 마음에 다양한 세계사 책을 만나보고 있는데, 이번 알에이치코리아에서 출간된 < 포르모사 1867 > 은 제목부터 생소하고 내용도 지금까지 한번도 접해보지 못했던 대만의 역사를 그리고 있어서 좀 고민이 되긴 했다.

그래도 두께도 거의 700 페이지에 달하는 벽돌책인지라 벽돌책 매니아로써 맘이 혹하기도 했고, 이번 기회에 대만 역사를 좀 알아가자는 마음에 도전을 해보게 되었다.

 

이 작품은 실존인물과 가상인물을 작품 속에 등장시키면서 역사적 사건을 토대로 씌여진 픽션에 속하지만, 대만에서조차 크게 거론되지 않았던 사건과 대만인들의 역사에서 거의 잊혀진 원주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대만역사를 모르는 나한테는 작품 속 이야기 중에서 픽션과 논픽션을 구분할 순 없지만, 전체적인 분위기가 어렵지 않게 씌여져 있어서 생각보다 술술 잘 읽힌다.

 

이 책에서는 많은 등장인물이 나오는데 책의 초반에 등장인물이 아주 잘 정리가 되어 있어서 큰 도움이 되었다.

포르모사라는 단어가 뭘까 참 궁금했었는데, 16세기에 대만을 발견한 포르투갈인들이 그 섬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칭한 이름으로 '아름다운 섬' 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1867년 이 포르모사에 '로버호'라는 미국인 배 한 척이 좌초되어 선원 10여명이 해안으로 들어왔는데, 이 섬의 원주민들은 예전에 서양인들에게 수많은 부족민들이 살해되었기 때문에 복수하기 위해 선원들을 살해하기에 이른다. 이 '로버호 사건' 으로 또한 미국은 복수를 위해 포르모사에 침략하게 되고 결국은 원주민에게 패배하는 굴욕을 맞이하게 된다. ( '복수는 또다른 복수를 낳는다' '피는 피를 부른다' 는 옛말이 갑자기 생각나는 순간이다. )

이 후, 몇 년간 이들의 대립과 갈등이 이어지다 남갑지맹이라는 조약을 체결하게 되는데, 원주민 세력이 서양 국가를 상대로 대등한 관계에서 맺은 조약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조약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한다.

이렇듯 대립과 갈등을 보였던 다양한 부류의 원주민들이 외세열강앞에서는 뜻을 함께 해 결국 대등한 조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을 부각시키고, 그런 위대한 원주민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기에 대만 넷플릭스 드라마 시청률 1위를 차지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겨우 까막눈에서 벗어나 대만의 역사에 대해 조금이나마 눈을 뜨게 된 기회가 되었고, 이제 포르모사, 남갑지맹 조약.같은 단어는 어느 순간에라도 내 눈에 쏙쏙 들어오겠지 !!! 드라마가 너무 궁금해진다.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정말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역사소설이고, 또 나처럼 대만역사에 무지한 사람이라면 이번 기회에 새로운 역사의 장을 알아가는 소중한 시간이 되리라 생각한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