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여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아주 예전에 기욤 뮈소의 책을 처음 읽다가 내 취향에 맞질 않아 중도포기한 후 아예 관심도 갖질 않았더랬다.

그리고, 이번에 실로 오랜만에 다시 읽을 기회를 가지게 되었는데 순전히 너무도 예쁜 표지에 반해서다. 그러고 보니 나는 표지에 유독 약한 듯 싶다. 나만 그런가? 아님 대부분의 독자들도 나와 같으려나?

 

암튼, 그렇게 해서 다시 기욤 뮈소의 세계에 도전해봤는데 왠걸. 너무 재밌잖아? 나의 독서성향이 그 사이 바뀐걸까? 아니면 저자의 대표작이라 재밌는 걸까?

원래 판타지, 다소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그다지 좋아하지 않고 지극히 현실적인 이야기를 극히 선호하지만 또 가끔은 이런 장르에도 불구하고 맘에 쏙 드는 작품을 운좋게 만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번이 그렇다.

 

책 속의 여자가 현실세계에 나타나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은 비슷한 분위기로 영화나 책에서도 다뤄지곤 하는데, 이 책은 마지막까지 다 읽어야 그 진실을 알게 된다.

기욤 뮈소의 이 책은 남자 작가가 썼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섬세하고 아름답고 로맨틱하다. 게다가 은근 스릴러적인 느낌도 전해져서 지루할 틈 없이 읽어내려가게 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처럼 한국의 독자를 무척이나 사랑하나보다. 책 속에서 한국독자를 돋보이게 하는 부분도 나오는데 은근 기분이 좋다.

 

여기에 더해 기욤 뮈소의 작가로서의 가치관이 묻어나는 부분도 만나볼 수 있는데 그런 점이 이 소설을 결코 가볍게 느껴지지 않게 하는 힘이 되어주는 것도 같다. 소설 속 작가인 주인공은, 독자가 자기 방식으로 책을 해석해 자신이 애초에 의도했던 것과 전혀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그건 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한다.

멋진걸 ! 완독 후 갖게 되는 책의 감상이 역자후기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때, 유명한 화가의 그림을 감상하면서 전문가의 해석과는 다른 느낌일 때, 혹은 영화를 본 후 평론가의 영화 해석과는 다른 의견일 때 들었던 생각을 기욤 뮈소가 딱 말해주고 있다.

 

왜 사람들이 기욤 뮈소의 신간이 나올 때마다 열광하고 팬이 많은지 이 < 종이여자 > 를 읽으니 어느 정도 이해가 간다. 다음 기욤 뮈소의 작품으로는 뭐가 좋을까? 이 느낌 그대로 이어가고 싶은데..고민된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자유로운 느낌으로 써 내려간 내용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