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꿈꾸게 하는 클래식 - 달콤 쌉싸름한 내 삶의 모든 순간
홍승찬 지음 / 북클라우드 / 2015년 4월
평점 :

흰 바탕에 모노톤의 흐릿한 피아노 풍경 사진이 실려있는 표지 조차도 아름답다.
얼마전에 '음악가들의 초대'라는 책을 감명깊게 읽었던 기억에 [나를 꿈꾸게 하는 클래식]이 더욱 기다려지고 기대되었다.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계를 대표하는 음악평론가인 저자는 클래식 뿐만 아니라 가요와 팝등 음악분야 전반에 걸쳐 의미있는 에피소드들, 독자가 꼭 기억했으면 하는 이야기들을 조곤조곤 말해주고 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편에서 음악가들의 무대 공포증을 읽으며 그런 대단한 분들도 떨리는구나 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 예외인 연주자로 무대에서 오히려 시선을 즐기는 듯 당당하고 느긋한 대표적인 인물로 피아니스트 김대진을 들었다. 클래식에 문외한인 나는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다. 임동혁 피아니스트는 좋아하지만 이분도 젊은 피아니스트인가보다 생각하며 찾아보았는데, 한예종 교수이자 수원시향 지휘자, 그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시는 대단한 분이셨다.
'세상에서 하나뿐인 기타, 하나뿐인 소리'에서는 세계적인 기타 제작사 펜더가 신중현에게 헌정한 기타 이야기가 나온다. 세계에서 여섯 번째이자 아시아 최초로 펜더의 기타를 헌정받은 신중현, 갑자기 감격적이고도 자랑스러운 마음이 들었다.
카네기 홀의 기념비적인 역사를 끝까지 찾아내어 박물관에 보관하고 후세에 전할 수 있도록 헌신한 카네기 홀의 문헌관리자 지노 프란체스코니 이야기는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했다.
그런 굴지의 공연장도 자신의 역사를 처음부터 기록하고 보관하지 않았다는 것이 놀랍기도 했다. 그리고 한 사람의 헌신이 얼마나 소중한 결과를 이끌어냈는지 생각한다.
공연장들이 스스로의 역사를 보여주는 박물관을 운영하지 않다는 것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지 처음으로 함께 깨닫게 된다.
오랫만에 차이코프스키의 '비창'교향곡도 찾아서 들어보았다. 비창을 들으며 카라얀을 보게 되었고, 카라얀의 일생에 대해서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았는데 이렇게 대단할 수가..(한 권의 책을 읽으며 마구 가지를 뻗을 수 있게 되는것이 이 책의 매력인 듯 하다.)
'쇼스타코비치의 레닌그라드'는 깊은 감동을 전해준다.
여기에 실린 많은 이야기들은 몇 번이고 되찾아 읽으며 음악을 새롭게 만나는 여러 갈래의 통로가 되어줄 것 같다.
그 음악 속에서 그가 살았던 시대의 모습과 작곡가 자신의 이야기들이 매번 생생하게 되살아나고 말을 건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새로운 버킷리스트 들이 추가되는 즐거움도 놓칠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