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경규 대백과 - 그래픽.웹디자인.일러스트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조경규와 함께한 클라이언트 & 그의 작품 이야기
조경규 지음 / 지콜론북 / 2014년 12월
평점 :
빨간 표지에 금박의 글씨가 박힌 두툼한 책은 [조경규 대백과]라는 제목에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하게 했다.
아무래도 그림이 많은 책이다보니 내용을 읽기 전에 그림부터 후루룩 들춰보며 상상해보는 즐거운 시간을 먼저 가질 수 있었다.
그림들의 느낌은 깔끔하게 똑 떨어지는 호텔의 럭셔리한 분위기와는 거리가 먼 복고적이고도 원색적이고 일부러 유치함을 의도한 듯한 인상을 받았다. 현란하고 과감한 색채사용과 색의 대비를 강조하고 유머와 과장, 풍자가 느껴지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거칠 것 없는 자유로움을 마음껏 발산하는 작품들은 시선을 사로잡았다.
문외한인 내가 보아도 작품의 양이 꽤 많은 것 같고, 작품의 주제나 활동 분야도 무척 다양해보였다. 그런데도 작가가 젊은 예술인이어서 대단하다는 생각과 부럽다는 생각이 동시에 들었다.
여는 글에서 ‘여러가지 잡동사니와 자료와 도구들이 가득한 나의 작은 방’은 우리 딸아이의 미래의 작업실을 상상하게 했다. 그 작은 방은 곧 세계만큼 넓은 공간이 될 것이고, 그 작은 방에서 우주까지 에너지를 전해주리라 생각한다.
그 작은 방에서 작가는 ‘나 혼자 집에서 만들어낸 결과물들’이라고 소개하는데 이토록 풍성하고 자유롭고 아름답다니...재능이군 하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데 되었다.
예술가라면 자기만의 확고한 세계 구축이 생의 목표처럼 자리잡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디자이너로서 또는 일러스트레이터로서 나의 색깔은 없다’는 명확한 선언은 오히려 예술가로서의 자기정체성을 뚜렷이 드러내며 사명감을 느끼게 한다.
Part 1에서 함께 작업해온 지인들과 그들과의 작업물이 소개된다. 사람들과의 관계맺기에서도 젊은 열정과 순수함, 머뭇거림없는 밝은 기운들이 드러난다. 그 긍정의 기운은 사람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가능하게 하고 윈윈의 작품들을 남기게 하는 것 같다.
강익중의 타일에 각각의 글자가 문장으로 되어있는 작품은 천천히 읽어보며 근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반가웠던 ‘토토의 오래된 물건들’도 보인다. 나도 인사동에 가면 아이들과 즐겨 찾는 곳이며 처음 방문했을 때 작가와 같은 마음에 두근거리기도 하였었다. 점점 줄어드는 추억의 물건들이 다 떨어지면 어떻하나 하는 걱정은 조경규와 같은 작가가 있어서 내려놓을 수가 있다. 인쇄물로 다시 만드는 작업을 통해서 보전이 가능해진다. 작업과정도 간략히 안내해주며 ‘인쇄는 을지로’라는 신념도 정겹다.
원더우먼과 소머즈가 실려있는 딱지를 보면서 시간가는 줄을 모르겠고, 딱지의 종류가 이렇게 많았나 놀랍기도 했다.
Part 2에서는 의미있는 프로젝트들을 실었다.
Part3에서는 의미있는 기계들과 영감을 준 책들을 소개한다.
친근하고도 소박한 마음을 쉬운 말로 전해주는 책이라서 같은 분야에 있는 전문가들에게 뿐만 아니라 나처럼 마음으로 예술을 가까이 하고 싶은 사람들이 읽기에도 아주 편하다.
소중한 사람들과의 인연, 작업과 일상의 연결고리, 작업 과정, 에피소드등이 생생하게 보여지며 현장감을 느끼게 된다.
반달곰 티셔츠에서는 반팔 티셔츠에 대한 작가의 애정을 즐겁게 따라가며 나도 올 여름을 위해서 오래 즐길 반팔 티셔츠를 고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각각의 이야기마다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하고 공유하게 한다.
13살이 된 해피에게 책의 속표지에 글을 썼다.
‘사랑스런 밀가루떡, 아기딸, 창의 예술가 해피에게’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