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린과 자칼이 함께 춤출 때 - 마음과 마음을 이어 주는 비폭력대화(NVC)
세레나 루스트 지음, 이영주 옮김 / 한국NVC출판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성장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배워온 자칼의 언어를 내려놓고, 비폭력대화의 기린 언어로 새로 학습하는 과정을 쉬운 일상의 예를 들어 설명해준다. 


비폭력대화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과 같다. 그리고 비폭력대화는 강력하다. 우리의 대화 방식을 근본에서 변화시키며 나아가 세상을 바꾸는 힘이 있다. 그것은 왜 그런가? 인간 보편의 욕구 모델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폭력대화에서는 우리가 느끼는 감정과 느낌이 그 근저에 있는 나의 욕구가 지금 어떤 상태인지 드러내는 신호라고 본다. 욕구가 충족되면 긍정적 느낌이, 충족되지 않으면 부정적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욕구는 우리가 숨쉬고 사는 공기처럼 보편적인 것이다. 


좋다/나쁘다, 옳다/그르다 등의 도덕적 판단으로 재단될 수 없는 무엇이다. 욕구의 이런 보편성은 우리 인간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고리다. 이것을 알 때 우리는 서로에게(그리고 나 자신에게)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다. 


내가 이해하는 비폭력대화의 공감이란, 지금 현재 나와 상대의 느낌과 그 이면의 욕구가 무엇인지 짐작해보는 것이다. 반드시 나의 상대의 느낌과 욕구에 동의하지 않아도 된다. 그것이 무엇인지 짐작해보고 느끼려고 하는 과정 자체가 공감이다. 


이 공감의 과정을 통해 우리는 나와 상대, 나아가 세상에 대한 진정한 연민을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이 과정을 거칠 때 세상은 '실제로' 변화할 수 있다. 이럴 때 우리가 막혀 있는 수많은 대립과 갈등, 분쟁과 싸움은 지금과 다른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물꼬를 트게 될 것이다. 주저리, 내가 이해하는 얕은 지식으로 비폭력대화를 요약해 보았다. 번역이 자연스럽고, 문장 하나하나를 정성스레 만진 느낌이 들어 좋았다. 


p.43 앞엣것들은 자칼 언어에 무게를 둔 예시들이다.(보통 '전자'라고 쓰는 것을 '앞엣것들'이라는 우리말로 순화해 썼다)


33쪽에 든 자칼 대화의 사례가 재미 있고 확 와닿아서 인용해본다. 

자칼1: 이것 보세요, 슈미트 씨. 당신네 그 괴물 같은 가문비나무는 도대체 언제 치워 버릴 겁니까?
자칼2: 첫째, 그건 가문비나무가 아니라 전나무입니다. 둘째, 그 일은 당신이 나한테 왈가왈부할 일이 아닙니다. 셋째, 먼저 당신의 자작나무나 신경 쓰시지요. 그 잎사귀들이 우리 정원으로 떨어진다고요.
자칼1: 일 년에 딱 2주 동안 조금 떨어지는 나뭇잎 가지고 유난 떨지 마세요. 그건 자연의 섭리라고요. 나는 일 년 내내 당신네 나무들 그늘 때문에 피해를 본다고요. 더군다나 당신네 나무들이 물을 다 빨아들이느느 바람에 우리 화단에서는 더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아요.
자칼2: 그건 화단에 물 주는 일을 제때 뭇 한 당신의 게으름 때문이지요.
자칼1: 정말 뻔뻔스럽군요. 일을 이렇게 복잡하게 만드시네요. 그럼 봅시다. 4주 안에 어떤 조치도 취해지지 않는다면 제 변호사가 연락할 겁니다.
자칼2: 한번 해보시지요. 벌써부터 기대가 되네요. - P33

우리는 자칼 귀를 통해 다른 사람의 말을 공격, 비난, 판다나 등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아니면 기린 귀를 사용해 상대방의 말을 충족되지 않은 욕구로 인해 생긴 느낌을 표현하는 것으로 들을 수도 있다.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처 주지 않는 대화 - 갈등을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비폭력대화의 기술
마셜 B. 로젠버그 & 가브리엘레 자일스 지음, 강영옥 옮김 / 파우제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비폭력대화는 강력하다. 우리의 대화 방식을 근본에서 변화시키며 나아가 세상을 바꾸는 힘이 있다. 그것은 왜 그런가? 인간 보편의 욕구 모델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폭력대화에서는 우리가 느끼는 감정과 느낌이 그 근저에 있는 나의 욕구가 지금 어떤 상태인지 드러내는 신호라고 본다. 욕구가 충족되면 긍정적 느낌이, 충족되지 않으면 부정적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욕구는 우리가 숨쉬고 사는 공기처럼 보편적인 것이다. 좋다/나쁘다, 옳다/그르다 등의 도덕적 판단으로 재단될 수 없는 무엇이다. 욕구의 이런 보편성은 우리 인간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고리다. 이것을 알 때 우리는 서로에게(그리고 나 자신에게)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다. 


내가 이해하는 비폭력대화의 공감이란, 지금 현재 나와 상대의 느낌과 그 이면의 욕구가 무엇인지 짐작해보는 것이다. 반드시 나의 상대의 느낌과 욕구에 동의하지 않아도 된다. 그것이 무엇인지 짐작해보고 느끼려고 하는 과정 자체가 공감이다. 이 공감의 과정을 통해 우리는 나와 상대, 나아가 세상에 대한 진정한 연민을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이 과정을 거칠 때 세상은 '실제로' 변화할 수 있다. 이럴 때 우리가 막혀 있는 수많은 대립과 갈등, 분쟁과 싸움은 지금과 다른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물꼬를 트게 될 것이다. 주저리, 내가 이해하는 얕은 지식으로 비폭력대화를 요약해 보았다. 책에서 읽은 몇 가지 인상적인 구절을 인용하는 것으로 서평을 대신한다. 

비폭력대화의 핵심은 자신의 감정이 다른 사람과 무관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내 감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내가 반응하는 태도‘에 있습니다. - P24

다른 사람을 도덕적으로 판단하거나 그에게 어떤 행동을 강요하지 않는 것이 비폭력대화의 전부입니다. - P30

감정은 자동차 계기판의 신호처럼 우리의 욕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 P32

자신의 욕구를 제대로 파악하면 상대방에게 화가 나지도 분노가 치밀어 오르지도 않습니다. 좌절하거나 슬플 수는 있지만 분노의 감정은 생기지 않습니다. 분노는 우리가 삶과 단절되었다고 느낄 때 생기는 감정이기 때문입니다. - P36

우리는 언제든 다시 현재의 대화로 돌아가 상대의 감정과 욕구 상태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 완벽하지 않아도 됩니다. 공감에서 중요한 것은 현재와 느림이며, 상대방의 생각이 아닌 감정과 욕구에 집중하면 됩니다. - P1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진 돈은 몽땅 써라 - 먹고 놀고 마시는 데 목숨 걸어라, 다시 살 수 없는 것들에 투자하라
호리에 다카후미 지음, 윤지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 다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 있다. 

101쪽: "내 지갑에는 기껏해야 현금 5~6만 엔 정도밖에 들어 있지 않다. 분실신고를 할 것도 없다"(=> 지갑에 '기껏해야' 현금 50~60만원밖에 없고, 분실신고 할 것도 없다고 한다. ㅠㅠ)


111쪽: "어른이 되면 몸이든 마음이든 모두 가능한 부모님과 거리를 두는 게 좋다"(=> 부모님이 연로하시면 봉양을 위해 가급적 가까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141쪽: "아이들에게 스마트폰 자체는 그냥 마음껏 쓰게 내버려두고, 괜히 주위에서 방해하지 말자"(=> 아이들의 무분별한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방관하는 부모는 글쎄...)


205쪽: "입체적인 사고를 하는 데는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힘, '다동력'이 도움 된다. ... 여러 업무를 동시에 처리하면서... 멍하니 쉬는 시간은 거의 없다.")  =>(멀티태스킹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모든 걸 내려놓고 쉬는 시간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독자 눈치 보지 않고 자기 생각 '정주행' 하는 자세 하나는 봐줄 만하다. 무엇보다 책 뒤의 "당신의 통장 잔고는 지금까지 놓친 기회의 총액이다"라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한곳에 정체되지 않는 삶, 끊임없이 흐르는 변화무쌍한 돈과 에너지, 인간관계의 흐름에 자신을 적극적으로 내던지라는 말이겠지. "가진 돈을 몽땅 써라"는 저자의 말도 재산을 탕진하고 알거지가 되라는 것이 아니라 '가진 돈을 모두 쓸 작정으로, 해야 할 일(하고 싶은 일)을 하라'는 뜻이라고 한다. 


'죽은 돈'이 아니라 '살아 있는 돈'을 중시하는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돈은 소중하다. 그러나 쓰지 않으면 족쇄에 불과하다. 당장 내일도 알 수 없는 미래에 돈을 묵히지 말고, 살아 숨 쉬는 현재에 써라. 무엇에도 속박당하지 않는 자유를 누려라! 가진 돈은 몽땅 써서, 하고 싶은 걸 하라!" 


배짱 두둑하고 자유롭고 호탕한 저자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책으로, 관성적인 안락의 삶에 길든 현대인에게 따끔한 일침으로 다가올 수 있겠다. 책의 분량은 매우 적어서 2~3시간 집중하면 다 읽을 수 있다. 두꺼운 종이를 써서 너무 얇아 보이지 않게 독자들을 배려(?)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원국의 어른답게 말합니다 -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최소한의 말공부
강원국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 알 법한 말에 관한 이야기. 부제처럼 정말 ˝최소한의˝ 말공부다. 라디오에서 하나씩 들려줄 땐 들을 만했는데, 책으로 접하니 기대에 못 미치는 듯. 역시 매체별로 나의 기대 수준이 다른 것인가. 우리는 책에서 좀더 ˝좋은 것˝을 기대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hlim 2023-06-12 2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라디오로 들은 적이 없어서 읽을만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이 마음 같지 않아 고민입니다 - 내 마음 오해 없이 전하고 싶은 당신을 위한 대화 수업
라이페이샤 지음, 김경숙 옮김 / 좋은생각 / 2021년 7월
평점 :
품절


비폭력대화의 원리와 실제를 알기 쉬운 예를 들어 차근차근 설명해주는 책. 저자는 대만의 여가수로 하버드대에서 공부하신 엘리트 분이다. 책에 저자 사진을 넣어주면 좋겠다.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