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자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미숙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자’라는 단어에는 어쩐지 부정적이 느낌이 있다. 우리는 주변에 아는 사람이 없으면 불안하고, 혼자 있으면 친구도 없는 이상한 사람으로 보일까 봐 신경이 쓰인다. 그래서 타인과의 관계 맺기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는다. 수많은 자기계발서와 미디어에서도 연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성공하려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조언을 구하고, 영감을 받아야 한다고 말이다. 과연 ‘넓은 인간관계=성공의 지름길’이란 방정식이 맞는 것일까?

혼자 있는 시간의 힘을 설파하며 수천만 독자를 사로잡은 일본 메이지대학 교수 사이토 다카시는 이 방정식은 틀렸다고 단언한다. 그는 혼자 있는 시간을 발판 삼아 정상에 우뚝 선 사람들을 ‘단독자’로 명명하면서, ‘고독’이야말로 최고의 성장 동력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최신간 《단독자》에는 이른 나이에 대학교수로 임용된 저자를 비롯해 탁월한 성과를 낸 수많은 단독자들이 무리에서 숨는 대신 홀로 고독을 자처하며 그 시간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소개된다.

또한 탁월한 단독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인간관계를 담백하게 유지하는 처세술부터 에고 서핑과 멀어지는 법, 자존감을 회복하는 쓰기의 기술,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는 행동법, 독서를 통한 마인드 셋까지, 한 번의 시도로 두 발짝 나아가는 최적의 기법들을 담았다.

<인터넷 알라딘 제공>


이 책에서는 고독이라는 말 대신 ‘단독’이라는 표현을 써보았다. 혼자서 행동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로, 주위를 의식하며 고독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로 고독 속을 걷고 단독자로서 살아가는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마음가짐이다. 이때 무엇보다도 선인들의 지혜가 도움이 된다. 그야말로 ‘고독의 교양’이라 불러도 될 것이다. 우리와 마찬가지로 고독 속을 걸으며 외로움, 괴로움, 슬픔을 뛰어넘은 선인들의 지혜를 접하면 ‘나만 이렇게 힘든 것은 아니네’ 하는 위로와 함께 용기가 샘솟는다. p6

그렇다면 고독이라는 말을 '혼자 있음으로써 충족함'이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다른말로 바꿔보는 건 어떨까? 영어로도 론리니스는 외로운 느낌이지만, 솔리튜드로 바꾸어 말하면 '혼자서도 잘 서 있는, 자립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고독도 '단독'으로 바꾸어 말한다면 솔리튜드의 의미가 짙어지지 않을까? 가령 혼자 있을 때 "고독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다"가 아니라 "단독으로 oo하고 있다"라고 말한다면 자의호 '혼자'를 선택해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처럼 느껴진다. 단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p27

자기긍정감이 낮은 사람은 모든 일을 자신의 기질이나 능력 탓으로 돌리기 쉽다. “내가 좀 부정적인 성격이라서”, “능력이 없어서”라는 말로 자기긍정감을 높일 기회로부터 도망쳐버리는 것이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내 마음에 자기긍정 회로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어른이 갖출 예의’이다. 필요 이상으로 자신을 비하하거나 빈약한 자신감으로 주위에 이해를 구하는 행동을 매너 위반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이렇게 마음먹는다면 진정으로 자기긍정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p82


저자가 혼자만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알찬 작품으로 열매를 맺으면, 이 작품을 읽는 사람은 그 열매의 숙성된 맛을 즐기며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이러한 연쇄작용 속에서 책을 읽는 사람은 고독감을 느끼지 않는다. 마음은 늘 저자와 함께하기 때문이다. 즉, 혼자 있는 시간이 외롭더라도 책을 읽는다면 그 고독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것은 책이라는 단독자의 숙성물 덕분으로 내 안에 있는 ‘고독’을 ‘단독’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된다. 이를 두고 코코 샤넬은 이렇게 말했다. “책은 나의 가장 좋은 친구였어요. p107

무용의 쓰임이란 '언뜻 아무런 쓸모가 없어 보이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될 때가 있다'는 사상이다. 한마디로 매사를 반대 측면에서 보라는 가르침이다. 고독에 관해 말한다면, 혼자는 외롭지만 그 덕분에 시간을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다는 식이 아닐까 싶다.

노장사상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고 생각하는 이념이다. 이 시각에서 본다면, 사소한 일로 고민하고 주저하는 것이 어리석다고 느껴진다. 인간을 장대한 우주 속의 작디작은 존재라고 생각하면 어떤 고민도 괜찮다고 여겨지는 것이다. p146~147


고독감을 해소해 주는 벗으로 음악만 한 것도 없다. 책을 읽는 데는 시간이 들지만, 음악은 그렇지 않으니 참으로 큰 장점이 아닐 수 없다. 그러니 고독감이 들 땐 일단 음악을 틀고 그 공간에 몸을 맡겨보자. 일을 하면서 음악을 들어도 괜찮다. 멜로디를 배경 삼은 상황만으로도 외로운 마음에 위로가 된다. 리듬에 몸을 맡기다 보면, 멜로디가 마음속으로 들어온다. 리듬과 멜로디가 하나가 되어 나를 위로하는 셈이다. p150~151

글을 쓰는 일에는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다. 자신의 마음을 글로 써 내려가는 작업이 그리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서 더 재미있다. 내 생각을 쓰는 동안에는 그야말로 단독자로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시간을 통째로 자기 생각을 쓰는 데 사용하는 것이니 이보다 더 호화로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쓰는 행위를 하면 집중해서 생각할 수 있고 그럼 복잡했던 머릿속이 정리된다. 더불어 그 과정에서 충실감을 느끼게 된다. 게다가 쓰기는 생각을 말로 바꾸어 ‘밖으로 표출하는’ 행위이다. 말의 실을 엮으며 마음속에 엉켜있던 기분이 확 풀리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p157

'혼자있는 시간의 힘'으로 잘 알려진 사이토 다카시의 신작

고독에 몰두하며

정상에 우뚝선 사람들

'단독자'를 읽고 있다.


예상하지 못한 팬데믹을 지나

어느날 갑자기,

아이들이 내 곁을 떠나 각자의 보금자리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혼자 남은 난,

빈둥지 증후군과 함께 찾아온 고독감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던 것 같다.

지금도 그때와 상황이 다르지 않고 원했던 일이 아니었지만 근간에 심한 공황을 겪으며

어쩔수 없이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책을 읽다보니 그래도 내가 이 힘든 시간을 견디어 낼 수 있었던 건

늘 만나던 사람들 대신 나와 함께한 책과 음악 덕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혼자 있는 시간동안

학창시절이후 읽지 않던 철학책들을 꾸역꾸역(?) 읽어 냈고

임영웅이 아니더라도 내게 영웅이자 위로를 주었던 팬텀싱어 다시 보기...

무엇보다 혼자여도 괜찮았고,

'왜 내게만?'이 아니라 '내게도' 나쁜 상황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으며

그러하기에 '하루하루를 후회없이 즐겁게 살아보자'는 다짐과 함께

어느만큼의 마음의 맷집(?)이 생긴 듯 하다.

그 다짐을 이렇게 블로그에 남기면 글을 쓰는 순간까지

저자가 이야기했던 것처럼 내 생각을 쓰는 동안 머릿속이 정리되었던 것 같다.

지난 주말,

걱정했던 9시간의 출석수업에 참석했다.

이미 삼삼오오 짝을 지어 스터디를 하고 있는 학우들을보며

잠시 고민했지만 지금은 내 페이스데로 혼자 공부하는게 맞다는 결론이다.

이제 한고비 넘겼으니 기말시험까지 무사히 잘 마무리해 보자.

<사이토 다카시의 고독을 삶의 무기로 만드는 법>

  • 고독을 단독으로 바꿔 부르다

  • 인간관계는 담백하게 유지하자

  • 에고 서핑은 하지 말자

  • 나 자신에게 '좋아요'를 눌러주자

  • 역사 속 고독한 선인과 나의 연결고리를 찾아보자

  • 일기를 쓰면서 자존감을 회복하자

  • 나를 위한 시나 힐링 송 목록을 만들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