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어라는 세상 속에서 살고 있다.
지금도 당신이 살아가는 세상은 매우 다채롭다.
다만 그걸 느끼는 당신의 언어가 단조로울 뿐이다.
우리는 자신이 표현하는 언어 이상의 세상을 만날 수 없다.
그래서 모든 부모의 언어는 곧 아이가 살아갈 세상이기도 하다.
아이는 부모의 언어를 통해 세상을 관찰하고 배우며 느낀다.
부모의 언어는 아이를 세상 어디든 당장 날아갈 수 있게 해주는돈으로도 살 수 없는 ‘지성의 티켓‘이다. - P65

아이가 스스로 이런질문을 찾아서 누군가에게 던질 수 있게 하려면 다음과 같은 인문학 질문을 평소 아이에게 자주 던지는 게 좋습니다.

① "여기에는 어떤 특별한 것이 있을까?"
② "먹지 않아도 살 수 있게 되면 어떨까?"
③ "어쩔티비 저쩔티비‘라는 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니?"
④ "저 기계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할까?"
⑤ "저 사람은 왜 저런 생각을 하는 걸까?"
⑥ "모두가 같은 생각을 한다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⑦ "부자와 부자가 아닌 사람의 기준은 뭘까?"
⑧ "요즘 가장 자주 고민하는 문제가 뭐니?" - P68

"한 사람의 의식 수준은 ‘혼자‘를 견딘 시간의 합과 일치합니다.
혼자 있는 자신을 견딜 수 있을 때, 그렇게 세상에서 가장 고독한시간을 보낼 때, 우리의 의식 수준은 급격하게 상승하죠. 고독의통로는 내면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꽃과 나무, 구름과 바다도 아름답지만, 세상에서 가장 근사한 것은 내면에 존재합니다. 이 아름다운 두 문장을 그대 내면에 새기세요."

"나는 나를 사랑할 수 있고, 나는 나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 - P75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무엇을 만들든 제대로 만드는 게 아니라. 아이의 생각대로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지금 아이는 물건을만들어 팔거나 대회에 나가 경쟁을 하는 게 아니니까요. 자신의 생각을 실제로 눈앞에 펼칠 수 있게 되면 아이의 세계도 그만큼 확장합니다. - P79

다시 한번 정리합니다.

① 참여를 유도하는 말
② 가능성을 부여하는 말
③ 방법을 찾게 해주는 말
④ 폭넓은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말
⑤ 혼자의 힘을 깨닫게 해주는 말
⑥ 상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말
⑦ 도전정신을 부여하는 말
⑧ 따스한 시선의 가치를 전하는 말 - P91

창의력과 창의성이 모두 뛰어난 아이들의 삶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16가지 특성을 살펴보며 아이들의 삶을 돌아보는시간을 가져보세요.

① 다른 아이들과 관심사가 다르다.
② 완성한 레고를 그대로 두기보다는 반복해서 분리하고 조립하는 것을 즐긴다.
③ 간혹 예상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④ 같은 문제에 대해 계속 질문하지만, 질문이 미세하게 달라진다.
⑤ 집중하느라 불러도 모를 때가 있다.
⑥ 같은 공간에서 같은 하루를 보내지만, 함께 있으면 늘 새로운게느껴진다.
⑦ "제가 해볼게요!"라는 말을 자주 한다.
⑧ 다른 사람들이나 사물의 장점을 매우 잘 찾아서 알려준다.
⑨ 설득보다는 설명을 잘한다.
⑩말꼬리를 끝도 없이 잡지만, 지켜볼 때 밉지 않고 흥미롭다.
11.동물과 식물을 사랑한다.
12.타인의 조언에 따르기보다는 스스로 하고 싶은 대로 한다.
13.불평과 불만이 별로 없다. - P94

14.자신이 하루에 쓸 시간을 철저하게 분배하며 지키고 산다.
15.자기만의 독서법과 공부법이 있다.
16.게임을 하다가도 중간에 알아서 멈추고 숙제나 해야 할 일을 한다.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