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사가 알려주는 우리 몸의 위험 신호
모리 유마 지음, 이성희 옮김 / 두드림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의사가 알려주는우리 몸의위험 신호
모리 유마 이성희
몸상태가 이상하다고 느끼지만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것 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몸이 가렵거나 몸에 반점 같은 것이나는 게 있거나 피부색상이나 소변 혹은 대변 색상이 변하거나 입냄새와 같은 냄새가 나거나 식욕이 떨어지거나, 식욕은 그대로여서 먹는 양은 같은데 체중이 줄거나, 평소 보다 적게 먹었는데 포만감이 있거나, 소화불량이나 더부룩함이 오래 가거나, 갑자기 등이 아프거나 왼쪽어깨가 아프거나, 손이 저림이 있거나 눈꺼풀이 처지거나 등등 여러가지 증상들이 있곤 한다. 이런 가벼운 증상부터 이색적인 증상들까지 모두 병원의 진찰을 요하는 것들이다. 상당히 가벼운 것일 수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으니 병원에 검진 차 가보는 것이다. 그런 기민함과 조심성이 수명의 길고 짧아짐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현역 의사인 저자의 당부에 귀기울 본다면 각자의 건강관리에 청신호를 가져다 주지 않을까 싶다. 조심해서 안 좋을 것은 없다. 요즘은 20대도 뇌신경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시대다. 그만큼 많이 먹고 질이 안좋은 인스턴트가 주를 이루어서다. 특히 20대와 같은 젊은 이들은 빠르고 쉬운 것을 좇는 환경에 처해있어서 안타깝다.
여튼 40대부터는 신경을 써야 하는 연령대이다. 이들도 인스턴트에 길들여 온 세대임은 틀리지 않아서 지금보다는 덜하지만 생각보다 건강이나 영양상태가 불균형해있다. 그래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정기종합검진도 받고 있어서 조기발견을 통해 생활수준이 좋아진 것은 희소식이다.
모든 병의 원인인 되는 다음과 같은 것을 체크하자. 운동(근력증진 특히 하체운동), 비만, 음주,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수면 등이다. 생활습관이 우리 몸의 건강을 좌우한다. 건강하게 살다가 건강하게 마치기를 우리가 되기를 바란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