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살 만한 세상을 만들 것인가 : 흔들리는 세계의 질서 편 - 시대의 지성, 노엄 촘스키에게 묻다
노암 촘스키.C. J. 폴리크로니우 지음, 최유경 옮김 / 알토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살만한 세상을 만들 것인가
흔들리는 세계의 질서 편

노엄촘스키 C.J.폴리크로니우 최유경
알토북스



이 책은 일대일 대담이다. 사회학자인 C.J. 폴리크로니우가 묻고 노엄촘스키가 답하는 형식으로 크게 주제는 두가지로 나뉜다. 먼저는 기후환경에 대한 주제, 다음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에 대한 것이다. 부분적으로 첫번째 주제에서 로버트 폴린이란 학자도 대담에 등장하기도 한다.

얼마전에 나온 번역서이나 대담의 시점이 러우전쟁이 일어난 지 1년도 안된 시점이라 다소 현재와는 맞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그 부분은 감안해서 읽으면 문제되진 않는다.
두번째 주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미국의 권력이 유엔의 법 위에 있어 미국 중심으로 세계의 판을 짜는 그들만의 무자비한 독주 그리고 미국에 좌지우지 되는 나토의 모습들을 비판하는 노엄 촘스키의 답변이 중심이 되었다. 책을 통해서 이 정도까지 설마 미국이 하고 있을까한 것도 있었고 알게 됐다. 우리나라의 최측 우방국이자 세계의 우두머리 국가인 미국의 민낯도 볼 수 있고 그렇다고 해서 우리의 우방국이라는 점은 바뀌지 않지만 다시 한 번 모두에게 좋은 나라라는 것은 없으며 그저 각 나라의 입장에서 우호적이냐 혹은 적대적이냐 둘 중에 하나뿐이라는 것을 새삼 돌이켜볼 수 있었다.

노엄 촘스키라는 이름을 들어보지 않은 사람은 웬만해선 없을 터다. 교과서에서만도 몇 번을 들어봤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사회운동가로 진보적인 지식인으로 수십년간 활동을 이어오셨다고 한다. 올해로 무려 벌써 97세나 되셨다. 현재는 브라질에서 요양중이며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난 미국인이며 세계적인 석학으로 알려져있다.
그간 세계적인 언어학자인 것만 알았는데 다방면으로 해박한 지식인이자 진보적이며 사회운동가적인 면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더욱 존경하게 됐다.

세상에서 인지도가 어느정도 있으며 연구분야에 뛰어나게 두각을 나타낸 지식인으로서 세상의 부조리함에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의무감이 있어야한다는데 찬성을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자발적으로 노엄 촘스키같이 두드러지게 그것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이른바 양심있는 지식인이라면 평생 닮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