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살아가도 괜찮은가 - 이기적인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희망의 실천윤리
피터 싱어 지음, 노승영 옮김 / 시대의창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초판은 1993년에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되었고 2014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이기적인 부의 축적을 추구하며 사는 나쁜 예로 자주 등장한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으니 미국 사람들은 여전히 그런 삶에 가치를 두고 있나보다. 타인의 고통에 무심한 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부를 축적하고 높은 지위를 얻는 것을 삶을 목표로 사는 사람들의 끝은 공허함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서 저자는 우주적관점으로 삶을 바라보며 타인의 고통에 연민을 갖고 그 고통을 줄이고 세상을 좀더 살기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에 삶의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책의 전반부는 부에 대한 서양세계의 관점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교개혁과 함께 프로테스탄트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부를 추구하는 것이 악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그 후에 미국에 신교도들이 이주하면서 절약과 근면, 부를 쌓는 것이 은혜로운 것이 되었다.

 하지만 부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은 정신과의사에게 진료가 필요한 인텔리 계층이 늘어나는 것으로도 알수 있듯이 만족하지 못했다. 저자는 삶의 목표를 윤리적인 삶을 사는 것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윤리적인 것과 도덕적인것, 종교적인것이 같은 의미는 아니라고 설명한다.

 내가 잘못 이해했을지도 모르지만 저자가 말하는 윤리적인 것은 동물을 포함하여 타인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그런데 나는 저자의 의견에 동참할 수가 없다. 닭장에 갇혀 평생 알만 낳아야 하는 닭의 처지가 불쌍하고 삶의 목표가 어른이 되는 것이라는 아프리카 어린이가 너무 마음 아프지만 개인들에게 하루하루 주어지는 삶도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다. 나는 부를 추구하고 높은 자리에 올라가기위해 노력해보는 것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노력하는 동안  한계를 알았고 내가 가진것으로 어떻게든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저자는 유태인이라서 그런지 기독교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많이 갖고 있는 것 같다. 기독교인들은 천국을 바라면서 선행을 하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나는 그렇다. 선행을 할때 내 마음속에 생겨나는 평화와 사랑이 바로 보답이며 천국의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는 삶의 과정을 너무 단순화 시켜버리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