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콰이어트 Quiet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수전 케인 지음, 김우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10년 전 즈음 '내성적인 사람이 성공한다'는 책을 만나서 정말 다행이었다.
그 책 덕분에 나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나를 보살피는 방법을 점점 더 많이 찾을 수 있었다. 그 책에서 얻은 훌륭한 지식은 "내향성과 외향성의 차이는 에너지를 얻는 방법에 있다"는 것이다. 외향적인 성격은 밖으로 나가 사람을 만나고 활동을 함으로써 에너지를 얻고 내향적인 성격은 혼자 있음으로 에너지를 얻는다고 했다.
이 정의에 따르면 나는 절대적으로 내향적인 사람이다.
나는 아무리 재미있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했어도 밖에 나갔다 들어오면 기운이 빠진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집에 있는 시간이 길수록 나는 에너지가 쌓이는 것을 느낀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외향성과 내향성을 자극에 대한 반응의 차이로 구분하고 있다.
내향적인 사람은 자극에 대해 섬세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한다.
이 책에서 건진 큰 수확은 자유특성이론이다.
내향적인 사람도 가짜외향성 연기와 자기감시를 통해 자기에게 중요하다 여겨지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어느정도는 외향적인 일들을 해낼수 있다고 한다.
이 이론은 지금까지의 내 삶을 잘 설명해 준다.
이것은 내향적인 사람들에게는 생존과 직결되는 금과옥조와도 같은 이론이다.
내향적인 사람들도 자신에게 중요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애를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자신에게 중요한 프로젝트를 파악하라고 조언한다.
일단 첫째로 어렸을 때 무엇을 좋아했는지 회상해본다
두번째는 자신이 끌리는 일에 주의를 기울여본다.
세번째는 부러워하는 일에 주의를 기울여본다.
이렇게 해서 핵심 프로젝트를 찾았으면 그것을 위해 외향성의 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긴시간을 외향적으로 보낼 수 없기 때문에 휴식법과 '회복환경'을 많이 만들어 두어야 한다. 이 책에 인용된 리틀 교수는 강연을 한 뒤에는 화장실에 가서 한동안 숨어있었다고 한다.
내향적인 사람들이 이책을 읽고 자신의 핵심 프로젝트를 깨닫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휴식법과 회복환경도 잘 갖춰서 정말 행복하게 잘 살았으면 좋겠다.
나도 마찬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