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21
남진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8월
평점 :
이리저리 시집의 제목들을 굴려보며 느낌이 오는 한 자락을 찾고 있었다.
늘 그렇듯이 힘을 빼고 무심한 듯
그러다 운명처럼 만나진 사자 한마리
그것도 새벽 세시라니..
그 시간에 사자 한마리가 왠 말일까
한 마리란다...
모두가 깊은 잠을 거쳐 아침을 향해 나아가고 있을 그 시간에
잠들지 못하고 배회하고 있는 단 한마리의 사자란 어떤 것일까?
작가의 프로필을 살펴보던 중 이 이상한 구절의 시인은 외딴방의 신경숙 작가의 남편이란다.
고개가 끄덕여진다.
뭔가 알듯 모를듯 이들에게 잠시 나의 마음을 위탁해도 좋을 것 같은 희망이 피어오른다.
시집은 순서대로 읽어갔다
사자가 나오는 그 시를 얼른 읽어 보고 싶었지만
시집은 시인이 보여주고픈 그 순서대로 읽어야 할 것 같은 나만의 강박증이있다.
사자의 차례다.
조심스레 시를 읽어나간다.
사자의 꼬리까지 배웅한 뒤 가만히 시집을 덮었다.
가만히.. 가만히..
며칠이 흘러간다.
사자가 다시 머리속에 떠오른것은 새벽 6시
아픔과 함께 사자가 나에게 왔다.
사자는 뜨거운것, 뻗치는 것, 분노하는 그것
내 속에 분명 살고 있으되
외면하고 회피해온 내 삶의 의지와 욕망
중용의 저편.....
사자가 찾아오는 것은 내가 살아있다는 것이다.
철저히 분리되어
중용이라는 가느다란 거미줄로 묶여져있는
헷세가 노래했던
지와 사랑
그 가운데
바보처럼 서있는 나
영원한 관조자
세시에 찾아오는 사자를 나는 어떻게 해야할까?
알수 없는 그 존재를
용기내어 문을 열면
후다닥 도망가버리는...
주인조차 부끄러워하는 그 사자의 존재를...
나는 어떻게 해야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