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이에의 강요 열린책들 파트리크 쥐스킨트 리뉴얼 시리즈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김인순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살아가면서 삶의 진리를 바라볼 수 있는 경험은 얼마나 될까? 아마 그저 살기에 바빠 삶을 돌아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주위 환경과 내 일, 가족 등 수 많은 생각 거리로 삶을 진지하게 생각해보거나 경험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책을 통해 삶을 바라보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책들은 그 방식이 뒤통수를 확 때리며 나에게 잘 살라며 경고를 주는 책도 있고 잔잔하게 공감을 할 수 있게 하면서 내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 있다. 이번 책은 그 두 면모를 다 갖춘 책이다.


  이 책은 총 3개의 소설과 1개의 에세이(?)로 구성되어있다. 첫번째, [깊이에의 강요]에서의 예술가는 평론가의 '깊이가 없다'는 말에 좌절하고 생을 마감한다. 굉장히 간단한 줄거리임에도 인상 깊은 점은 그녀의 죽음에 평론가는 이미 초기에 깊이에의 강요가 묻어나 있었다는 말로 완전히 자신의 말을 바꾸어버린다는 것이다. 평론가의 말 한 마디 때문에 자신의 예술세계와 자신에 대해 의심을 하고 결국 자기파멸로 나아간 여인을 보여주면서 기성세대와 평가자의 시선으로 나를 바라보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나 또한 지금 것 살면서 얼마나 세상의 시선과 주위의 기대에 맞추어 살려고 노력하였던 것인가. 결국 그 시선은 절대적인 것도 아니고 내 것인 것도 아니었는데 말이다. 맞추어 살려고 노력하면서 오히려 내 것을 잃어버리게 된 것 같다. 걸음을 따라하려다가 내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왔다는 어떤 이야기(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다) 속의 주인공이 되지는 않았는지 경종을 울린다.

  

  두 번째 이야기인 [승부]는 노인과 한 젊은이가 체스를 두는 이야기이다. 노인은 그 동네에서 체스를 제일 잘 두는 사람이고 젊은이는 완전한 뉴페이스이다. 구경꾼들도 존재하는데 이들은 노인들에게 다 진 사람들이다. 노인은 이성적으로 체스를 정석대로 두는 반면 젊은이는 굉장히 열정적이고 과감하게 전혀 예상치 못하게 체스를 둔다. 구경꾼과 노인 모두 당황해하지만 노인이 결국 이긴다. 이 체스를 두는 과정을 굉장히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는 작가의 역량을 칭찬해주고 싶다. 빠져들며 읽게 되었다. 노인이 체스를 이겼지만 그는 자신이 사실 진 것이며 이제 체스를 그만 둘 것이라고 선언한다. 젊은이의 열정에 진 것이다.


  사실 젊은 사람이라면 이 이야기 속의 젊은이처럼 때로 무모하지만 과감하게 시도해야한다고 본다. 이것이 젊음의 특권 아닌가? 근데 나도 사실은 그 젊은이가 아니라 구경꾼에 불과했던 것은 아닌가? 노인과 과감하게 체스를 두지는 못하고 지켜만 보면서 남의 도전에 환호하고 결국 그의 도전이 실패하면 '그럼 그렇지'하고 체스판을 떠나버리는... 열정 있는 삶이 실패할지언정 도전하고 경험하는 삶이 더욱 멋있고 아름답다.


  세 번째는 [장인 뮈사르의 유언]이다. '세계는 사실 조개다'라는 다소 뜬금없는 진리를 선포하며 시작하는데 굉장히 진지하고 나름 논리적으로 풀려고 하는 모습이 굉장히 웃겼다. 근데 곱씹어 보니 맞는 말이다. 사람을 보면 어린아이 때의 왕성함과 활달함은 마치 조개 껍질처럼 딱딱해져 수동적이고 감정이 없는 사람으로 변모하게 되는 것이다. 인생의 순리이기도 하고 자연의 이치이기도 하지 않을까? 우리 모두 조개가 될 것이면 개성 있는 조개가 되도록 하자. 무늬가 있다든지 진주를 품었다든지 말이다.


  네번쨰인 [문학의 건망증]은 작가 본인의 이야기인 것 같다. 나도 책을 읽으면서 많이 느끼기도 했던 감정이라 공감을 많이 하며 읽을 수 있었다. 책을 읽고서도 잊어버리고 같은 내용에 감탄하여 밑줄을 그을려고 하는데 이미 그어져있다던가 등 "아니 이래서 책 읽는게 우리한테 도움이 된다는 건가?" 생각해볼만 하다. 글쎄... 난 책 읽는 것 자체가 재미있고 가끔은 내 삶의 주요한 변화나 가치관의 변화를 주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내용을 기억하지는 못하더라도 책이 나에게 주는 의미나 변화할 점을 얻었다면 그것만으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굉장히 짧은 편들로 이루어진 책인데 매력 있는 책이다. 작가의 삶에 대한 통찰에 감탄하고 덕분에 진지하게 생각해볼 시간을 가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