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대와 환대 - 밀양과 여러 현장 투쟁에서 배운 우리 시대 운동론 ㅣ 팸플릿 시리즈 (한티재) 28
박지호 지음 / 한티재 / 2024년 10월
평점 :
제게 필요한 부분 발췌요약합니다.... 구체적 예시와 함께 확인하려면 책을 확인해보세요.
연대의 원칙들
1. 연대는 확장되어야 한다. 이해관계자의 집단행동이 아니라, 정당성이 연대자에게도 납득이 되어야 한다.
2. 연대는 주-객체의 구분이 없다. 어떤 긴급한 사안에 연대하지만 결국 나에게도 좋기 때문에 연대한다.
3. 연대에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연대하는 이유는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이다. 때문에 연대자를 동원하는 사람으로 이용하지 말고, 실제 의사결정도 같이 해야한다. 그래야 확장이 가능하다.
환대의 원칙들
1. 역할주기 : 집회에서 할일주기, 호명하여 집회의 일원으로 책임감을 느끼게하기. 등
2. 이해시키기 :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사정을 설명하기....
3. 진심으로 대하기 : 자기점검을 위한 질문들 : 나를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미룰 수 있는 구호나 요구가 되어서는 안 될 것. 연대만이 살길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밀양할매들이 연대자들을 정말로 존경한다고 하는데 ㅠㅠ 나도 그걸 느끼겠어서 너무 몸둘바를 모르겠더라. 저는 농활을 갔는데 감을 왤케 많이 주세요... 제가 뭘 잘한 게 있다고요.. 그리고 집회 온 사람에게 왜 이렇게 감을 보내세요....할매 이 귀한 감을 어찌 먹나요 진짜 미안하게..라고 말하지만 다 먹고 없다. 가만 있을 수 없어서 열심히 나눴다. ㅠㅠ)
세상이 다 연결되어 있다는 걸 연대를 다니다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니 다른 사람과도 연대하러 다니고 싶다. 연대를 결정하는 것은 연대자와 환대자의 관계이지, 활동가의 의지나 계획이 아니므로. 에측을 벗어나고 통제하지 못할 공간에서 불현듯 등장한다는 말이 적절하다.
모든 것을 '나와 관계된' 나의 일로 여기고 외면하지 않는 그런 자세가, 자신만 그럴 뿐 아니라 우리 사회가 그런 사회가 되도록 끊임없이 고민하고 애쓰는 자세가 중요할 것입니다. 우리는 결국 우리 사이에 놓인 경계를 허물지 않으면 계속 패배할 수 밖에 없는 존재들이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승리라 부를 것인가? 연대와 환대를 배우는 것이 승리이다. 우리가 좋은 방향으로 변화했으면 승리이다. '우리'의 개념이 확장되는 게 승리... 모든 투쟁은 사회적이다.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 성공한 집회는 함께하는 각각의 연대자가 연대와 환대를 배우는 커머닝을 해냈을 때.. 그것이 성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