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의 왕따일기 2]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양파의 왕따 일기 2 파랑새 사과문고 73
문선이 지음, 박철민 그림 / 파랑새 / 2012년 6월
구판절판


우리 어릴적 시절을 돌이켜 볼때는 지금처럼 극단적으로 왕따 문제 때문에 아이들이 자살을 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거나 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하지만, 다시 기억을 더듬어가니 이문열씨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속 반장처럼 기억나는 한 반장의 권력이 생각났다. 선생님이 너무 많은 힘을 실어준 것 때문에 그 아이는 반 아이들에게 왕처럼 군림했고 급기야 자신의 맘에 안들거나 약해보이는 아이들을 일부러 떠들었다고 해서 선생님께 이르거나 혼나게 만들거나 해서 많이 미웠고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 후 나 자신 그 학교를 전학해서 다른 학교로 가는 바람에 해방되었긴 했지만, 그 사건은 오래도록 마음속에 상처로 남았고 그때의 담임 선생님의 이름이랑 그 아이의 이름은 지금이라도 기억할 정도로 그 사건은 내 마음에서는 오랜시간 곪아 있었다. 그나마 고등학교 시절에 다시 그 아이와 대면하게 되어 그때 일을 이야기하며 조금의 응어리나마 풀수 있었지만, 가해자였던 그 아이는 이미 자신의 모습을 잊어버리고 있어 무척 허탈했었다.



그래도 지금처럼 무척 심각하게 퍼지는 문제는 아직 아니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나마 나았던 건 우리 어릴때는 누군가에게 그 사실을 이야기할 수 있었다는 것이 다른 것 같다. 하지만, 요즘의 아이들에게는 더 복잡하고 미묘한 환경의 문제가 있는 듯 하다. 이미 초등학교 시절부터 경쟁에 내몰리게 되는 아이들에게 왕따 문제는 그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더 심각해지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이 책 속에서는 왕따 문제를 통해서 아이들 스스로 왕따 문제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제공해준다.

1편은 만나보지 못했지만, 2편으로 이어지는 이 이야기 속에서는 미희를 중심으로 결성된 '양파'모임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 양파 모임 아이들에게 찍혀 왕따가 된 정선이가 전학을 가게 되고 정화는 친구를 지켜주지 못했다는 자책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러다 정선이를 대신하듯 다솜이라는 아이가 전학오게 되고 공부 잘하고 싹싹한 다솜이에게 반 아이들의 집중이 쏠리자 그게 마음에 들지 않는 미희가 있다. 미희는 양파 모임의 중심인지라 양파 모임 아이들은 미히의 눈치를 보며 다솜이를 밀어내려 하고, 정선이 일로 다시는 그런 일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마음 먹은 정화는 다솜이 사이에서 이어주려 노력하지만 역부족인데, 그러던 중 방학을 맞이하고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선생님의 중재로 드디어 양파 모임은 해체하게 되는데......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의 어린시절이 생각났다. 전학생으로 가게 된 학교에서 처음엔 모두의 관심어린 시선에 다들 호의적이고 잘 대해주었는데 내가 전학 온지 한달도 안되어 서울에서 전학온 아이에게 관심이 쏠리면서 오히려 나는 아이들의 눈밖에 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었다. 그러나 다른 아이들보다 공부를 좀 하는 편이어서 결국 왕따의 그늘에서 벗어나게 되었었다.


왠지 씁쓸한 그 기준에는 엄친아에 대한 기대감이나 실망감, 자신과 다름을 인정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경향 등등 아이들의 우월의식의 문제를 바라볼 때 이 책 속 처럼 아이들의 눈에 그 아이의 단점이 더 부각되는 상황으로 만들어가기 보다 왕따 문제의 심각성을 역할극을 통해서 체험해보고 아이들 스스로 서로의 장점을 발견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긍정적인 생각이야말로 왕따를 멀리하게 되는 지름길이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처럼 어린 마음에 상처로 곪아 힘든 시절을 보내는 일이 없도록 왕따 없는 좋은 학교와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가정은 물론 학교 사회가 함께 노력해나가야 하는 중요한 과제이기도 한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책 속 이미지의 저작권은 원작자와 해당 출판사에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