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대안학교 졸업생이야!>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나? 대안학교 졸업생이야! - 대안학교를 꿈꾸는 학부모, 학생들을 위한 졸업생 15인의 리얼 보고서
김한성 외 14인 지음 / 글담출판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사실 아직 아이의 연령이 고등학교 진학과는 거리가 멀어서 그런지 처음 듣는 생소한 단어 '대안학교'에 의아했다. 특목고니 민족사관학교니 하는 단어는 들어도 보고 대강 감이 잡혀도 대안학교라고 하니 특수교육을 하는 학교인가 하는 생각에 고개도 갸우뚱했던 생소한 단어였던 것.

 

대안학교에 대해서 찾아보니, '대안학교(代案學校)란 서구 교육계의 [얼터너티브 스쿨(alternative school)]에서 나온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억압적인 입시교육에서 벗어나 좀더 다양하고 자유로우며 자연친화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학교를 말한다'고 소개한다.(출처: 네이버 사전)
자연친화적이고도 공동체적인 삶의 전수라는 측면에서 대부분의 학교가 기숙사제로 운영이 되어있고 교육과정도 다양한 수업방식 등으로 일반 학교와는 차원이 다른 그런 교육이 실시되는 곳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참 좋은 학교가 아닐까 했는데 초창기에는 대안학교를 보는 시각이 그리 곱지많은 않았다고 한다. 일반 고등학교에 진학하였으나 학교 생활에 부적응하여 가게되는 학교라는 이미지도 있고, 일반 학교에 비해서 대학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좀 어려운 학교라는 인식도 있고 불편한 느낌을 자아내는 그런 학교로 인식도 되고 있었던 듯 하다. 하지만 이제 대안학교가 점점 더 주목을 받고 있다고는 하는데 사실 그런 시선에 비해선 정보가 많이 부족했던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실제로 대안학교를 졸업한 15명의 졸업생들이 생생한 입담으로 전하는 구성이라서 대안학교를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에게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인 것 같다.

 

부끄럽게도 책을 처음 펼치면서 대안학교를 나온 학생들이 지금 뭘 하나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런 마음을 헤아렸는지 졸업후의 현재 어디 소속인지도 알기 쉽게 각각 졸업생을 소개하는 제일 윗 부분에 표기해 두었다. 그리고 졸업생들이 3년간의 대안학교를 졸업후에 대학을 갔을까? 라는 부분도 의문을 가지고 살펴보았는데 의외로 명문대학으로 진학한 케이스도 눈에 띄었다. 사실 이런 부분이 좀 속물같지만, 역시 나 자신도 학벌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부분이 대안학교와 같은 새로운 커리큘럼으로 운영되는 학교에 대해서 색안경을 끼고 보지 않았나 하는 부분에서는 부끄럽게 느껴졌지만, 이런 나와 같은 독자에게 시원하게 가려운 곳을 박박 긁어주는 대안학교로 가게된 계기와 학교 생활, 그리고 졸업후의 진로에 대해서까지 자세하게 조목조목 잘 정리되어 있는 느낌이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주위에서 일반적인 고등학교에 진학하는데, 내 아이라면 보낼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그런데 의외로 이 책 속에서는 부모가 먼저 자녀에게 권한 케이스도 눈에 띈다. 정말로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었는데, 나 같아도 획일적인 교육이 싫다고 하면서도 혹시나 아이가 사회생활할때 차별을 당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꺼려질 것 같았는데 오히려 사회에서는 플러스로 작용될수 있겠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놀라운 점이었다. 또한, 대안학교를 졸업한 졸업생들 이야기를 하나하나 살펴보니, 일반 입시를 위한 학교에서는 사실 입시 경쟁에 매일매일이 스트레스일텐데, 학교에 대한 만족감이나 아이들 스스로 미래에 대한  의지도 확립되어 성취감도 높아보여서 아이가 원한다면, 또 비용면에서 자유롭다면 고려해보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