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엔에이 세계사 서양사 / 놀면서 혼자하는 수학>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놀면서 혼자하는 수학 1 : 집합과 수 - 설명이 자세해서 너무 쉬운 중학수학 놀면서 혼자하는 수학 시리즈 1
이윤경 지음, 최상규 그림 / 글담출판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학창시절, 다른 과목에 비해 힘들게만 느껴졌던 과목이 바로 수학이었다. 다른 과목은 암기를 하거나 원리를 이해하고 푸는게 가능했지만, 수학은 학년을 거듭할수록 어렵게만 느껴졌다. 초등학교 시절 처음 뺄셈을 접했을때, 구구단을 힘겹게 외웠을때까지는 그렇게 어려운 과목이 아니었으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수학을 접하게 되었을때와 중학교 수학을 끝내고 고등학교 수학을 접했을때의 충격이란. 그 사이사이에서 기초가 탄탄히 잡히지 않으면 어려운 과목이라는걸 실감했었다. 내 어린 시절에는 감히 학원에 다닐 엄두도 못내었고 좋은 참고서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 가르쳐줄 사람도 없어서 혼자서 헤매다 그냥 대충 넘어간 것들이 많았던 수학에의 아쉬움이 아직도 기억엔 아쉬움으로 남아있다.

 

그런 수학을 놀면서 혼자서도 할 수 있다고 하니, <놀면서 혼자하는 수학>이라는 제목이 대단한 자심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초등수학도 아니고 중학수학인데 말이다. 그러고보니 올해부터 중학교 수학 부분이 초등학교 부분으로 내려가면서 중학교 수학도 고등학교 수학이 내려와서 좀 더 난이도가 높아졌다는 이야기도 들은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느낌을 담은 평을 하자니 오랜만에 중학교 수학을 접하니 처음엔 너무 생소한 것 같아서 이 책을 보는 것 자체가 좀 두려워졌다. 요즘 아이들은 학원에서 수업을 받으니 우리때보다는 더욱 원리나 수학에 익숙해져 있을테고 우리 어릴때보다 난이도가 높을 것 같아서 말이다.  그런데, 정말 쉬운 설명이 어릴적 접했던 수학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구성이라 놀라웠다. 게다가 아이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칼라풀한 구성에 삽화까지 재미있었다.

 

이 책에서는 <집합과 수>를 주제로 아주 기초적인 집합의 정의부터 시작하고 있는 구성이다. ’수학의 잘하는 학생들의 모임은 집합일까?’라는 질문을 통해 집합의 정의에 대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집합의 연산과 소인수분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과 함께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십진법의 원리와 정수와 유리수, 사칙연산, 그리고 수의 확장으로 이어지며 보다 더 깊이 있는 수학으로 이끌어간다.

 

사실 위에서도 언급했듯 수학을 배운지도 아주 오래전일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했지만, 이렇게 재미있으면서도 쉽게 차근차근 알려주는 이 책으로 중학교 수학을 접할 수 있다면 참 수학이 재미있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중간중간 수학과 관련된 학자들의 이야기도 흥미진진한 구성으로 소개가 되어 있어 함께 익히기에도 좋은 구성이다. 수학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아이들이라면 이 시리즈라면 놀라운 발전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적극 추천해주고 싶다.


<책 이미지의 저작권은 해당 출판사에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