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말아요, 티베트>를 리뷰해주세요.
울지 말아요, 티베트 - 히말라야 넘어 달라이라마를 만나다 맛있는 책읽기 6
정미자 지음, 박선미 그림 / 책먹는아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 어릴때 숱하게 봐 왔던 반공영화는 어린 마음에 정말이지 공포의 대상이었다. 전쟁의 참혹함은 물론이고, 전쟁으로 인한 공포까지도 느껴졌던 그 영화들을 가끔씩 상영할때면 되도록 안 보고 싶었을 정도다. 내가 저 상황에 있으면 어찌 될까 하는 두려움이 가장 앞섰기 때문이다. 6.25전쟁으로 잠시 피난을 가셔야했던 우리의 부모님, 또 나라를 잃고 일제시대를 지내야 했던 할아버지 할머니 모두 참 힘겨운 시간이었으리라 생각되어 더욱 마음이 안 좋았던 기억이 있다. 전쟁이란 공포의 대상이고 나라를 잃은 설움은 한이 되고 또 아픔과 슬픔을 낳는 비극의 역사인지도 모른다.

 얼마전 TV를 통해서 티베트의 정세에 대해 자세하게 볼 기회가 있었다. 중국에 의해 베일에 가려져 있던 티베트 사람들이 당하는 충격적인 영상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 책을 읽었다.

책의 서두에는 <이 동화는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엮은 것>이라는 소개와 함께 영문으로 된 기사와 한글 번역본이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저자의 머리말에는 티베트의 안타까운 현실과 이 책을 쓰게 된 계기가 소개되어 있고, 책 내용에 앞서 등장인물의 소개가 등장한다.철저히 숨겨졌던 티베트 사람들의 고통이 한 기자에 의해서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하는 사실을 바탕으로 이 글이 구성되었다고 한다.


흥미로운 것은, 티베트 사람들이 히말라야를 넘는 힘겨운 여정을 함께 하는 한국인 다큐멘터리 감독인 아빠와 그의 아들  건이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좀 더 실감나는 이야기 전개로 딱인 것 같다.  두 사람은 티베트의 사람들과 히말라야를 넘으면서 티베트 사람들의 고통과 아픈 현실을 알게 된다. 중간에 중국 공안에게 붙잡힐 위기도 놓이고 히말라야의 매서운 추위와 갑작스런 돌풍으로 소중한 일행을 잃기도 하고, 국경에 다다라서 중국공안에 의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하기도 하는데, 그들의 정신적 지주인 딜라이라마를 만나기 위해 긴 여정을 참으며 인내하는 모습에서 감동이 느껴졌다. 그리고 책의 처음 소개되었던 기사처럼 히말라야 등정대를 찍기 위해 온 외신기자의 도움을 받아서 티베트의 현 사정에 대해 인터뷰를 하기로 하는데.....

티베트 사람들의 현실이, 일제 강점기의 우리나라의 모습과 오버랩되면서 가슴 한켠이 시큰거리는 아픔이 느껴졌다. 전쟁이나 나라를 잃는 설움은 다시 없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읽어보았다.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세계의 문제라서 아이들에게 책을 읽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도 될 것 같다.자유를 잃고 민족이 고통받는 현실이 어떠할지 상상이상일지도 모른다. 티베트 사람들이 하루속히 그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갈 날을 고대하며 아이들과 함께 읽고나서 생각을 나누어보면 참 좋은 시간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