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당분교 올림픽>을 리뷰해주세요
-
-
몽당분교 올림픽 ㅣ 맛있는 책읽기 4
김형진 지음 / 책먹는아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어릴적에는 단일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많이 받아왔는데, 요즘 아이들을 위한 책을 보면 우리때랑은 다르게 단일민족을 강조하기보다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의 흐름으로 가는 것같다. 그도그럴것이 역사학자들의 연구가 진척되어 선사시대에 한반도에도 남방계와 북방계의 서로 다른 인종이 살았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확인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 이유도 있고, 우리 주변만 봐도 외국인들을 쉽게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이루고 사는 사람들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된데도 기인하는 것 같다.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혈연관계가 은연중에 있어 피부색이 다르거나 가족형태가 다르면 아무래도 좀 다르게 보는 경향이 있는것 같다. 그래서 요즘 아이들을 위한 책들 중에는 이렇게 <몽당분교 올림픽>에서 소개된 가족들처럼 조금 다른 가족의 형태를 소개하는 책이 눈에 띈다.
몽당 분교에는 해마다 올림픽이 열린다. 젊은 사람들이 몽당리를 떠나고 언제부터인가 피부색이 다른 사람들이 하나둘씩 늘어나 몽당분교에서는 피부색이 다른 아이들이 함께 공부하고 있는 것이다. 호세피노는 한국에 일하러 온 아빠를 따라 오게 되었고, 나이지리아의 부모님이 한국에서 지어준 이름을 지닌 영애, 엄마 아빠의 이혼으로 전학온 예슬이, 한국인이지만 아빠 엄마를 모르고 절에서 자라는 철수 등 아이들도 제각각 사연을 가지고 이 곳에서 살게 되었다. 그래서 언제부터인가 운동회를 ’올림픽’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우즈베키스탄의 에르킨, 북한의 박만덕, 필리핀이 호세피노, 한국의 하철수, 태국의 솜차이, 나이지리아의 이영애, 그리고 서울에서 전학온 예슬이까지 총 7명의 아이들이 다니고 있는 이 학교에서 운동회가 열리던 날, 올림픽은 싸움으로 끝을 맺고 만다. 만국기에 모든 국기가 없는 것, 축구 시합을 하는데 한국대 외국이라는 분류에도 모자라 북한출신의 만덕이 아버지가 외국인 팀에 분류되어 축구시합을 하게 된 것,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김상사의 거침없는 발언 등이 상처로 남는다. 그러다 학교가 폐교 위기를 맞게 되고 아이들은 단합해서 배드민턴 대회에 나가기로 하는데.....
가슴이 아프면서도 가슴 뭉클한 희망과 감동을 담은 몽당 분교 아이들 이야기에 가슴이 뜨거워졌다.
나도 이웃나라 일본에서 외국에서 온 아이들과 그들의 가족을 많이 만날 기회가 있어서 참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모습은 달라도 아이들의 순수함이나 문화의 차이는 있어도 대화하다보면 같은 사람이라는것을 깨달았던 그때의 기억이 떠오르며 오버랩되었다. 과거 전쟁에서의 서로 상반된 아픔, 피부색, 언어의 장벽, 불법체류의 벽과 그로 인한 이별의 고통, 그리고 북한과 한국, 한국인이지만 가슴 아픈 삶을 살아가는 아이의 모습에서 진정한 한국인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하는 시간이 되었다.
편견으로 소외된 계층이나 이웃이 없도록, 글로벌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다양한 피부색과 나랑은 조금 다르지만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훈련을 많이 해야할 것 같다. 편견이 낳는 아픔이나 슬픔이 없도록 좀 더 다가갈 수 있는 따스함을 가진 아이들로 자랄 수 있도록 부모와 함께 읽는 책으로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