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적막과 고요 속의 자애학원, 게다가 그 학원은 안개가 자욱해 그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도 아무도 알 수 없는 ‘무진’에 있다. 듣지 못하고 말할 수 없어 조용한 아이들. 하지만 그 아이들의 내부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던 걸까.
작품 전체적인 내용보다는, 작품에 등장한 주변 인물들을 통해 느낀 바를 적어보고 싶다.
사람들은, 불완전하고 자신의 이익부터 챙길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은, 그들의 소리없는 외침을 외면한다. 그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자애학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아이들의 비명소리를 듣고도 눈앞에 닥친 생계문제로 인해 못 들은 체 했을 것이다. 교육청 장학관씩이나 있는 사람은 대책위원회에서 성폭행 증빙이 가능한 서류를 제출했을 때에도 앵무새처럼 ‘우리 소관이 아니’라는 말만 반복하며 자신의 지위와 명예를 위해 못 들은 체 했을 것이다. 성폭행범(교장•행정실장 등)을 변호하는 황 변호사도 강남에 새로운 사무실을 차려야했기 때문에 아이들이 겪은 끔찍한 일쯤이야 못 본 체 했을 것이다. 피고 측의 증인으로 나선 산부인과 의사는 연줄 때문에 피고 측에 유리하도록 소견서를 썼을 것이다. 바보가 아닌 이상 이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 아이들이 당했다는게 명명백백한 진실임을. 하지만 인간은 지극히 약하고 불완전해서 때로는 눈앞에 있는 불편한 진실을 외면한다. 지금 내 눈앞에 있는 문제가 더 크게 보이고, 정의를 위해 나 자신을 온전히 내던지기에는 예상되는 피해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 입장에서는 저마다 다 눈 감을 수 밖에 없었던 사연이 있다. ‘도가니’에 등장하는 주변 인물들은 대부분 그렇다. 잘못된 일을 보고서도 크게 동요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그들을 무조건 탓할 수도 없다.
소설 속 서유진 간사가 한 말이 생각난다. “난 그들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고 싸우는 거예요” 나는 소설 속 중심 인물들처럼 정의를 위해 싸울 수 있을까. 내가 처한 상황이 더 중요해서 타협하는 건 아닐까. 그런 사람이 되지 않겠다고 다짐하지만, 그런 상황이 되면 결국 보고 싶지 않았던 나의 모습을 보게 되는 건 아닐까. 그들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면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
작가가 되기는 참 어려운 것 같다. 공지영 작가의 소설을 통해 느꼈다. ‘도가니’는 책을 읽고 있는데도,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 있는 것처럼 그 상황이 다 머릿속으로 그려졌다. 전체적인 상황 뿐 아니라, 디테일한 부분까지. 마치 많은 수의 인물이 등장하고 그 인물들의 표정 하나하나까지 다 섬세하게 표현해낸 미술작품을 보는 느낌이다. 이러한 묘사는 작가의 엄청난 내공과 지식에서 나오는 것일테다. 작가의 이런 능력이 새삼 다시 부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