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제목은 많이 들었는데, 또이제야 읽는 책. 달과 6펜스.

갑자기 주워들은 고전의 정의가 생각난다. 누구나 들으면 대충은 알지만 읽어보지는 않은 책이라는...

그럼 나에게 이 책은 더이상 고전이 아닌건가?ㅎㅎ

암튼 예술가의 놀랍도록 열정적인 삶이 나를 사로잡았다. 왠지 잘 읽히지 않을 것 같은 첫인상은 어디로 가고, 술술 읽혀서 깜짝 놀랐다.

찰스 스트릭랜드의 일생을 옆에서 지켜본 ‘나‘가 구술하는 식으로 써내려간 작품이다. 직접 보지 못한 때는 타인의 진술을 옮겨 적기도 한다.

찰스 스트릭랜드의 모델이 폴 고갱이라고 하여 고갱의 그림을 찾아보았다. 작품 속 묘사와 그림이 매우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물론 나는 조르바님이 훨씬 맘에 든다. 스트릭랜드는 작품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되듯이 타인에게 호감을 주는 사람은 아니었으니까~
하지만 진정 자신이 원하는 바를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큰 울림을 주었다. 내가 살고 싶은 삶이기도 하고 실제로 그런대로 사는 것 같기도 하다.

이 책도 역시 로쟈님의 강의를 듣기 위해 읽은 건데, 작품 선정의 탁월성에 다시 한 번 찬사를 보낸다.

참, 서점에서 로쟈님의 책을 봤는데 너무 매력적이었다. 서평 모음집이었는데 작품이 다 너무 생소했다..
아,나의 비천한 독서량이여~~
어트케 너무 사고 싶어~~
사서 사인 받고 싶어~~~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11-12 13: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전의 또 다른 정의
... 재미없어야 합니다. ^^

붕붕툐툐 2018-11-12 21:43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그러게요~ 파우스트는 아직 도전 못하고 있는 책 중 하난인데 재미 없을 거 같아서 망설여져요~ㅎㅎㅎ

야리바바 2018-11-12 13: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전은 가끔 도전해보지만, 정말 좋아하는 쉬운 느낌의 고전들(제인오스틴,브론테자매,몽고메리,디킨스...)빼고는 늘 실패합니다. 무식하게 말하자면, 지루하고 어렵고해서욤,,,

붕붕툐툐 2018-11-12 21:44   좋아요 0 | URL
공감합니다~ㅎㅎ 책은 만날 시기가 있다고 굳게 믿어요~ 언젠간 재밌게 다가올 수도 있으니까, 자주 도전해 보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