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유 종말시계 - '포브스' 수석기자가 전격 공개하는 21세기 충격 리포트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0년 2월
평점 :
'소유의 종말'이니'육식의 종말'이니 인류에게 종말을 경고 하더니 이미 오래 전부터 석유의 공급부족에 관한 경고는 있어 왔기에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석유의 종말. 또 뻔한 이야기를 하려나 보다라고 생각했다. 가뜩이나 우울한 기사가 사회면과 경제면을 연일 장식하는데 미래학자나 환경운동가들이 주장하는 자원고갈이나 환경오염등 다 아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하지만 '석유 종말시계'는 석유의 공급 부족이 가져올 결과에 대해 매우 구체적이고도 사실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석유가 단지 사막에 묻혀 있는 단순한 화석연료가 아닌 우리의 일상임을, 석유는 우리가 먹는 음식과 교통수단, 생활 수단이며 이미 우리의 일상이 되었음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생활의 많은 부분을 석유에 의존하고 있는 현대인들이 과연 석유 매장량이 바닥을 드러내고 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게 된다면 어떠한 삶을 선택하게될지 그들의 생활릐 변화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유가가 1갤런당 4달러, 6달러 오른다면 우리의 일상은 어덯게 변할지, 1갤런(약 3.5리터)당 유가가 2달러씩 오를 때마다 경제와 사회에 미칠 파급효과와 일반인들의 생활속 변화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제로 2달러 내외를 유지하던 갤런당 유가가 4달러가까이 오르자 미국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폭등하고, SUV를 주력 생산하던 업체들이 문을 닫는 일들이 일어났다. 갤런당 유가가 4달러, 6달러, 8달러, 10달러를 넘어서 갤런당 20달러가 육박하는 사태가 온다면 과연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해 있을까?
지구의 종말을 알리는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온통 암흑과 죽음, 추위와 굶주림이 만연하리란 나의 예상과는 달리 사람들은 일상을 유지한다. 단지 변화가 있응 뿐. 유가가 상승하면 우선적으로 자동차의 수요가 급감할 것이며 값싼 물품을 편하게 살 수 있는 쇼핑을 자제할 것이다. 해외에서 값싼 노동력으로 생산한 저렴한 물건을 유통하던 업체들의 구조조정이 불가필 할 것이며 그에 따라 우리의 식탁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노란색 스쿨버스는 자취를 감추고, 걷거나 자전거로 순찰을 도는 경찰들의 등장하고 , 고유가로 인해 자동차와 항공사는 사라질 위기에 처하게 되고 반면 새로운 삶의 방식에 맞춰 사람들은 자리를 잡아갈 것이고, 발빠르게 현명한 준비를 해온 연료 절감이나 태양열, 풍력 발전을 비롯한 대체 에너지 개발 노력은 빛을 보게 될것이다.
오히려 항공기와 자동차 운행의 축소로 환경은 개선 될 것이고, 사람들의 비만과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은 줄어들 것이라 예측한다. 더 반가운 이야기는 고유가 시대에 모든 것을 해결하 수 있는 자립형 구조와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과학적 설계, 친환경적 배치로 설계된 '송도 신도시'가 해결 방반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송도 국제도시라는 이름에 걸맞게 세계의 도시들의 모범이 될 것을 기대한다.
그는 확실한 대체에너지로 원자력이야말로 대량생산할 수 있고, 믿을 수 있게 관리 되며, 지정학적 분쟁을 발생해서 공급이 중단될거라는 불안을 일으키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말하며 미래에 가장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인 원자력에 보조금을 지급해야하며 원자력기술을 지원하는 일에 반대하지 말아야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예측이나 주장은 일부 수긍이 가지만 아직 우리의 가치관으로 핵폐기물 처리나 원자력 시설을 둘러싼 주민들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기엔 역부족이다. 언제쯤 기분 좋게 원자력 시설 짓는 일을 수용할 지, 미래에는 그 보다 더 획기적인 에너지원이 개발될지는 미지수 이다. 하지만 변화에 준비하는 자만이 살아남는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 진리일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