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가 책으로도 출간되었구나. 혹시나 싶어 알라딘 상품에 검색해 봤더니 책과 ost 모두 발간되었다. 사실 읽을 만한 가치가 있을런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류승룡의 연기 때문에 영화는 좋았다. 요 몇년간 영화 보기는 곧 공포라는 등식이 성립되었던 내게 류승룡의 영화를 찾아 보자는 결심까지 하게 만들었으니 말이다.

 

10,20대 시절 영화광이었던 내가 영화를 멀리 하게 된 것은 아이들을 키우기 시작할 때부터였던 것 같다. 간간히 애 키우면서 몇 년에 한편씩(애니빼고) 보긴 했지만, 즐겨 보게 되지는 않았다. 영화의 흐름도 요즘 활발하게 활약하는 배우가 누군지 잘 모른다. 심지어 천만 넘은 영화 <아바타>빼고 다른 영화들은 극장가서 본 적이 없다. 당연히 이 영화의 주인공 류승룡도 몰랐다. 요즘 충무로에서 뜨는 조연배우였다는데도, 출연한 영화를 단 한편도 본 적이 없다. 지난 12월에 딸아이랑 <몬스터 호텔> 볼 때 광고타임에 이 영화가 소개되었는데, 류승룡 어쩌고 저쩌고 해서, 류씨는 승자 돌림인가보다,라고 생각할 정도였다. 하핫.

 

그러다 아이들이 봄방학인데, 영화 한편 보자고 해서 고른다 고른 영화가 <7번방의 선물>이었다. 영화 리뷰 읽어보니 신파에, 뻔한 이야기에, 이런 영화를 눈물 흘리고 봤냐는 냉소와 비웃음에, 있을 수 없는 말도 안된다는 반응 등등 안 좋은 평가만 읽고 아, 이걸 봐야하나..또 2시간 몸을 비비 꼬겠구나 싶었지만 아이들하고 볼만한 영화가 없어 예매하고 조카까지 데려가 봤다.

 

난 안 울 줄 알았다. 감성이 여리지 않고 감정이 메말라, 영화 내용이 뻔하는다 말에 울 거라고는 생각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휴지 한 장 안 챙겨 갔는데, 막판에 많이 울었다. 감독이 영화를 많이 봤는지 여기저기 따온 비슷한 장면이 많다는 것을, 깝죽거리고 뻔한 스토리라는 것을 보는 내내 알아챘지만, 영화의 마지막 장면 류승룡 때문에 울었다. 류승룡이 자신의 사형일 마지막 날 딸 예승이를 꼬옥 껴안는 장면에서 눈물이 줄줄 흘러내렸다. 지금도 그 장면을 생각하면 눈가에 눈물이 핑 돈다. 어쩜 아빠가 딸을 껴안은 장면은 이 영화 저 영화에서 지겹도록 많이 나온 클리쉐인데, 류승룡의 표정연기때문에 안 울 수 없었다. 지적 장애인이면서 자신의 딸을 누가 보살펴야하는 걱정과 딸에 대한 미안함과 안타까움이 그 파르르 떨리는 얼굴에 진심으로 나타났는데, 그 때의 표정 연기는 그 배우 아니면 절대 표현해 내지 못할 것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그가 한눈에 혹가는 잘 생긴 배우(뭐 내딸 서영이에서 이상윤처럼)가 아니였고 영화 첫 장면에 류승룡의 연기가 못 미더웠는데(왜냐하면 <아이엠 샘>을 자꾸 흉내내는 것 같아서), 영화가 진행되는 동안 이 배우 믿을만 하다에서 마지막 딸 예승이를 꼬옥 껴안는 장면에선 이 배우 아니면 정말 저렇게 파르르 떨리는 얼굴 표정만으로 이렇게 자신의 슬픔을 표현해내지 못할 것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상인처럼 딸을 떠나보낼 때의 그런 표정이 아니였어요. 정말 딱 지적장애인의 표정 연기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감동이 배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 애들은 그 장면에서 울지 않았는데, 그건 나도 그 배우만큼 나이를 먹었고, 류승룡이란 배우도 자신의 나이의 연륜에서 나오는 연기를 한 것이 아닌가 싶었다. 집에 돌아와 제일 먼저 류승룡이란 배우에 대해 검색해 보니 <활>이나 <내 아내의 모든 것>에 출연했더군요.

 

이 영화의 류승룡의 연기를 보니 그의 다른 영화도 보고 싶어졌다. 20대 시절처럼 영화의 구조니 이런 식으로 영화를 바라보고 싶지 않다. 잘 생기지도 멋지지 않지만, 묵묵히 연기를 위해 자신의 모든 삶을 바쳐 온 영화인의 열정어린 연기만 있어도 영화가 살 수 있다는 것을 이 영화를 보고 알았고, 우리 나라에 이런 연기 잘 하는 배우가 있다는 것만으로 영화를 다시 보고 싶다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기 잘하는 배우가 우리 나라 영화계의 커다란 자산이구나 싶었다. 언제 이렇게 우리 나라 영화계에 이런 배우가 있었는지... 그의 연기에 대한 열정과 걸어온 험난했던 길이 이렇게 좋은 결과로 보상 받는구나 싶어 류승룡이란 배우에게 박수를 보내주고 싶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3-03-03 15:47   좋아요 0 | URL
기억님, 저는 류승용이라는 배우를 '천년학'에서 그만 좋아져버렸지 뭐에요.
목소리까지 일부로 노력하여 바꿨다고 들었어요.
이 영화에선 완전 탈바꿈. 귀엽고 안타깝더라구요.^^

2013-03-08 1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3-08 2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3-09 09: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3-03 17:57   좋아요 0 | URL
류승룡. 꽤 다작이심.. (드라마에도 많이 나오거든요~.) 저도 류승룡이 좋아요~~~.ㅎ

기억의집 2013-03-08 11:21   좋아요 0 | URL
네이버 블로그 보니 어느 분이 류승룡씨 출연작 정리를 다 하셨는데,, 놀랬어요. 나이 들어 연기력 인정 받으니 작품이 더 많아지더군요. 별순검에도 나왔는지 몰랐고 저는 이 분 첨이었어요. 그동안 영화 본 게 없어서....

희망으로 2013-03-04 00:01   좋아요 0 | URL
전 한국 영화는 보고나서 돈 아깝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더라구요.
이 영화가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고 해서 궁금하기는 해요. 비주얼이 월등히 돋보이지 않더라도 연기를 잘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이 사람도 그런 사람중의 한 명이구요.
연기력도 중요하지만 캐스팅도 중요한 것 같아요.

2013-03-08 11: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영엄마 2013-03-05 00:59   좋아요 0 | URL
이 영화 아직 보진 못했지만... 류승룡이라는 배우 참 괜찮은 것 같아요.
예전에 별순검 방영할 때 이 배우 처음 보고 반했다지요. <활>이랑 <내 아내의 모든 것>도 봤어요~. ^^

2013-03-08 1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녀고양이 2013-03-06 19:45   좋아요 0 | URL
헙, 해피엔딩 아니었어요?
이 영화 꼬옥 보려고 했는데, 갑자기 용기가 사라져버리는... ㅠ

기억의집 2013-03-08 11:27   좋아요 0 | URL
딸애랑 같이 가서 보세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잖아요. 저는 전혀 기대 하지 않았는데 그때 류승룡의 표정 보고 많이 울었거든요. 자신이 이제 이 세상에 없다는 것을, 딸을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다는 것을 그 표정안에 있더라구요. 제가 내딸 서영이랑 나비부인 친정집에 가서 보는데, 거기에 우는 연기가 많이 나와요. 그래서 유심히 보면 연기 참 잘하는데, 연기의 연륜이 있다보니 기계적인 울음이라는 것을 느껴요. 근데 류승룡이 딸을 꼬옥 껴안는 모습에서 절절한 애정이 묻어나서 울었어요. 영화 중반에 전 좀 지루했긴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