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중1 큰놈이 수련회 떠나고 집에 없으니 할 일이 별로 없다. 친정엄마도 나물 캔다고 산에 가고. 집구석에 틀혀박혀 도서관에서 빌려온 미우라 시온의 책 좀 읽다가 널부러져 있던 오래된 책이나 파일들을 정리했다. 이번 주 토요일 재활용하는 날 버리던가 동네 재활용 모으는 아저씨께 갖다 드릴 요량으로.
오래된 책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20대에 열광했던 김현의 책과 신문 스크랩을 발견했다. 나는 김현선생의 글 참 좋아했다. 그의 글은 감정이나 문체의 과잉이 없었지만, 담백한 가운데 한국문학에 대한 애정과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그로 인해 한국문학의 진정성에 한발 내 딛었다고 말해도 되나. 선생덕에 20대땐 우리 소설을 많이 읽었다. 이젠 낡고 바래질대로 바래져 김현의 평론집은 지난 겨울에 다 재활용에 갖다 버렸는 줄 알았더니 <책읽기의 괴로움> 과 <행복한 책읽기>란 책이 책더미속에 있었다.

84년에 출간된 그의 평론집, <책읽기의 괴로움>

책날개 안쪽의 김현의 프랑스 유학시절 모습,

김현은 불문학자로서 프랑스 문학(소설)이나 푸코같은 철학자의 저서를 열심히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문학에 관심과 사랑 그리고 육성했던 사람이었다. 위의 사진은 문학과 지성사란 출판사를 세웠던 김현, 김치수, 김병익 그리고 김주현씨의 문지를 설립했을 당시 기념 사진. 아 정말 젊은 모습~ 30대 정도 되려나.

그는 반생의 삶을 살지 못했다. 1990년 그는 간암으로 48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91년에 발행된 사진 스크랩에서 발견한 사진. 암투병으로 살이 많이 빠진 모습(그 땐 몰랐는데, 김현 선생 암투병으로 살빠진 모습을 보니, 암으로 돌아가신 아버지의 빼짝 마른 모습과 오버랩 되서 측은한 기분이 들었다).
김현이 현재까지 살아있더라면 한국 문학의위상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을까?
내가 알고 그 어떤 평론가들보다 한국문학을 사랑했고
그를 거쳐가지 않는 소설가나 시인이 몇명이나 될까 싶을 정도로
치열하게 열정적으로 한국문학을 논했던 분이다.
타계 후 20년이 지난 지금,
많은 이들에게 그는 잊혀지거나
잊혀질 전설의 평론가들 중 한명으로 남아 있는 것은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