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로님의 dabble in Korean (or something) 페이퍼를 읽고, 저도 좀 내년에는 하루에 세네 페이지라도 원서 읽기를 해 보자는 다짐과 동시에,


작년에 원서로 한 10페이지 읽고 때려 친 사라 웨스트오버의 Educated가 생각나서 책장에서 찾아 딱 3페이지 읽었습니다. 역시 우리말처럼 술술 읽히지 않으니 책 읽는 재미가 반감 되긴 합니다만.

Educated, 우리 말로 교육하니깐 순간, 친하게 지내는 지인이 말해 준 비극적 에피소드가 떠올랐는데, 그 지인과 친목 모임하다보면 별의별 이야기가 다 나오는데, 어느 날, 예전에 아들도 아니고 딸을 대학교육까지 시킨 부모가 거의 없다... 이렇게 이야기 하다가, 그 엄마가 말하길, 자기는 시골 출신(본인이 지칭)인데, 그 친구 부모님이 농사 지으시면서 다섯 남매를 다 대학을 보내셨다고 해요. 시골에서는 80~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여식을 대학 보낸다는 건 상상도 못하고 동네 사람들이 없는 살림에 딸들까지 대학 보낸다고 주변에서 엄청 뭐라 했다고 해요. 뭐, 그래도 부모님이 주변에서 뭐라하던 아랑곳 하지 않고 딸 셋 아들 둘을  다 대학 보내 졸업 후에는 나름 서울에서 다들 자리 잡고 잘 사는데,

문제는 동네 사람중 한 분이 자식 넷이 있는데 그 자식들을 국민학교만 졸업시키고 농사일을 시켰다고 합니다. 그 분들 주장은 학교 가서 뭐하냐고 그냥 농사 지어 번 돈으로 생활하면 된다고 그 돈으로 먹고 살 수 있는데, 뭐하러 대학 나와 돈 쓰냐고 했답니다. 그래서 자식들이 대학은 커녕 중학교 졸업도 못 한 체, 아버지가 시키는대로 농사 지어 돈 좀 모았나 보더라구요. 문제는 사회 기반(system)  자체가 변하면서, 농사는 돈이 안 되고 그 동안 모은 돈으로 뭐 좀 해보려 해도 배운 게 없어 사기 당하고 무시 당해 빈털털이로 고향집 내려 와 농사일 거들며 사는데 그 과정에서, 자식들이 교육 안 시켜줬다고, 대학 안 보내줬다고, 누구네 집은 대학 나와 다 잘 살지 않냐고 그렇게 부모를 원망했다고 해요..


90년대 중후반 이후, 한국 사회가 점점 학력을 중요시 하고, 사실 90년대 이후 대학졸업 해도 취직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졸(초등졸)로 이력서 낼 곳도 없으니, 자식 입장에서는 부모가 특히 아버지가 원망스러웠겠죠..


그러다가 어느 날 그 아버지가 자살을 했다고 해요. 그 말 듣는데, 좀 뭐라 그럴까!!! 남의 일인데도, 마음이 좀 그랬습니다. 타인의 불행에 대한 안타까움... 그 보다 더한 딮한 감정이 생기더라구요. 


내가 아무 것도 배우지 않아도 이렇게 잘 사는데, 자식인 너희들도 그렇게 살아라 하는 것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세상. 세상이 변하지 않는 다면 교육이 뭔 필요가 있겠어요 정지된 세상에선 느린 삶도 살 만 한데, 대한민국은 가진 거 없다고 산업화를 선택한 나라 아닙니까!!!


아마 몰랐겠죠.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본인들은 시대의 변화를 읽을 만큼의 교육을 받아 온 적이 없었으니깐요. 지금 이 자리에서 농사 지으며 평화롭게 살면 된다고 생각했겠죠. 마치 타라 오버웨스트의 아버지가 종교에 맹신한 것처럼이요. 


아무리 나쁜 사주를 타고난  사람도 그 사주를 바꿀 수 있는 건 교육이라도 하지 않습니까? 뭔가 배운다는 건 지식를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삶의 즐거움 일 수 있는데 말이죠. 보고 듣고 읽는 즐거움, 삶에 이런 요소가 없다면 뭔 재미로 살까요!!! 교육은 우리를 둘러싼 창 아니겠습니까? 마이크로 소프트가 세상과 세상을 연결하는 운영체계를 괜히 윈도우 라고 했을까요!! 교육은 세상과 세상을 연결하고 새롭게 세상을 바라는 보는 창이라는 것을. 


그러나 살다보니 막힌 창들 많습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1-12-28 21: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새로운 걸 계속 배우고 바꾸고 그렇게 하고 싶은데, 변화가 점점 더 빨라져서 적응하기 어려운 것 같아요. 사람마다 생각이 달라서, 새로운 것이 아닌 이전의 방식으로 사는 것을 유지하고 싶은 사람도 있는 것 같고요. 그래도 계속 적응하려면 조금씩 변화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기억의집님, 따뜻한 연말 보내시고, 좋은 밤 되세요.^^

기억의집 2021-12-28 22:50   좋아요 2 | URL
그쵸. 점점 빨라지는 세계, 전 저 얘기 들었을 때 정 못하면 자식들이 검정고시라도보지. 아부지를 원망한다는 게 참 그렇긴 했어요. 느린 삶을 선택하는 분들도 많거든요~ 서니님 날이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책읽는나무 2021-12-29 06: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살까지!!!ㅜㅜ
안타깝네요~
아버지를 원망 했어도 늦은 나이에라도 스스로 충분히 뭔가를 찾아갈 수 있었을텐데 부모만 원망하다니....아버지로서 죄책감이 크셨나 봅니다.극단적 선택까지???ㅜㅜ
저 책 읽어보려고 매번 눈독만 들이고 있었는데 기억님은 원서로???^^
원서로 배움을 배우시는군요?
이 무슨 얼토당토 않은 아재개그인지??ㅋㅋㅋ

기억의집 2021-12-29 07:48   좋아요 1 | URL
그쵸. 저는 차라리 검정고시같은 방법이 있을텐데… 이런 생각도 들었는데 워낙 배움이 짧아서 검정고시를 치루겠다라는 생각조차 하지 못한 게 아닐까 싶기도 해요. 우리 때만 해도 중학교가 의무라 아니라서.. 근데 대한민국 교육열이 하늘을 찌르는데 국졸이라니 너무 하긴 하죠. 저는 아직까지 기억 남는 게 저 초등졸업때 중락교 진학 하지 않은 두 남자애가 있었는데 그게 너무 인상적이어서 아직도 그 장면이 기억나요. 남자애 둘이었는데.. 국졸로 대한민국에서 잘 살아 남을 수 있으런지.

배움의 발견 원서 저도 원서 좀 읽어보자는 맘으로 샀는데 ㅋㅋ 몇페이지 읽고 때려치고 다시 꺼내 들었는데 6페이지 읽었어요. ㅋㅋㅋ

2021-12-30 17: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2-30 2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12-30 21:0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