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을 출간 후 한강 작가님은 어느 인터뷰에서 소설을 쓰는 동안 자신의 자의식이 별로 들어가지 않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씀 하신 것을 본 기억이 있다. 이 이야기는 아마도 작가가 소설의 사건, 인물들을 이끌었다기보다는 소설의 사건, 인물들이 작가를 이끌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작가님은 소설을 쓰는동안 최대한 감정을 절제하셨다고 하는데 나는 그 절제가 이 소설에서 어떤 하나의 새로운 감정을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는 사람이 쓴 사람의 절제된 감정, 절제했지만 절제되지 못한 감정들을 따라 읽다가 슬픔, 분노, 두려움, 등의 감정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어떤 새로운 감정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예전에 김애란 작가님이 소설이란 사건의 팩트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복원하는 것이란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는데 이 소설을 읽고 나면 그 말이 자연스레 떠오르게 된다.

  이런 종류의 소설만큼 소설의 줄거리를 이야기하는 것이 부질없이 느껴지는 책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이런 종류의 소설만큼 줄거리가 중요한 소설 역시 없을 것이라는 생각 역시 해보게 된다. 잠깐만 검색해 봐도 알 수 있는 실제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소설을 썼다는 점에서 줄거리를 이야기하는 것이 부질없이 느껴지지만 그런 역사적 사건을 소설로 쓸 수밖에 없다는 점,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우리는 모두 그 사건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서 이 소설의 줄거리는 그 어떤 허구적인 이야기로 쓰인 소설의 줄거리보다 중요하게 느껴진다.

  문학동네 팟캐스트에 출연해 작가님은 이 소설의 모든 인물들에 실제 모델이 있다고 하셨다. 불운하게, 나는 그 이야기를 소설을 읽기 전에 들었던 터라 소설을 읽는 내내 누군가의 삶이, 우리의 삶이, 인간이라는 존재의 삶이 너무 아파서 숨을 몇 번이나 가다듬어야 했다. 인간이란 도대체 어떤 존재인가. 인간은 인간에게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어떤 일까지 할 수 있는가. 우리를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게 하는 부분은 우리의 어떤 부분인가. 등등 소설을 읽어 나가다 보면 수많은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수많은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 우리는 5.18 그 날의 그 사건의 사실 자체에서도 그 날의 어떤 인간성에서도 그 날의 감정에서도, 그 어떤 것에서도 아직 자유롭지 못하고 그것은 아마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다. 그날에 수많은 사람을 죽인 것도, 그날에 희생된 사람들도 모두 현재 살아있는 우리와 같은,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인간으로 살아가는 한 앞으로도 계속 그날의 일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되는 것일까. 자연스레 이런 질문에 도달하게 된다.

  소년이 오는 시점은 어제도, 앞으로도 아닌, 오늘 지금 바로 현재이다. 위에서 말한 질문과 함께 소년은 계속해서 우리를 마주보고 오고 있다. 어쩌면 그 소년을 어떻게 맞이하는가는 살아있는 개개인의 몫, 개개인의 선택일지 모른다. 이 소설을 읽고 무엇을 생각하느냐, 어떤 행동을 하느냐 역시 개개인의 몫이고 선택이다.

  소설을 읽다보면 대학생 진수는 그날의 사건으로 고문을 받다가 살아서 밖으로 나왔지만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만다. 실제 이 사건을 겪은 인물들 중에서 자살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다고 들었다. 그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을 자살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들의 육체의 생명은 스스로 끊은 것일지 몰라도 영혼의 생명은 이미 고문을 받던 그 당시 타살당했을 것이다. 어쩌면 육체 역시 그날 대부분이 죽었을 것이다. 그들이 미처 살지 못한 삶을, 인생을 우리는 현재 살고 있다. 이런 생각들을 하다 보면 살아 움직인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무기력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무기력하기만 해서는, 아무 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기만 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생각 역시 하게 된다.

  이 소설의 끝에 에필로그 부분을 보면 마치 작가님 본인이 이 소설을 쓰기 전의 과정을 소설로 옮겨놓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나는 그 부분을 읽으며 이 소설을 읽는 우리 모두 어떤 방식으로든 각자 개인의 방식으로 에필로그를 붙여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굳이 글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누구는 그림일 수도, 누구는 다른 사람과의 대화일 수도, 누구는 그냥 일상 그 자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그렇게 개인마다 어떤 방식으로든 에필로그를 붙여야, 아니 그렇게 소설을 이어나가야 이 소설을 진정으로 완성시키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오랜만에 전경린 작가님의 새 소설집이 나왔다. 개인적으로는 전경린 작가님이 2011년도에 현대문학상을 받으신 <강변마을>이라는 단편을 무척 좋아하고 몇 번이고 아껴 읽었던 기억이 있어 이 작품이 실린 이번 단편집이 많이 반갑다. 전경린 작가의 여성적인 문장들, 인물들을 따라 읽다보면 내 안의 여성성을 들여다보게 되고, 내 삶을 들여다보게 된다. 목차를 보니 이번 소설집의 해설 제목이 ‘중력과 부력 사이에서 흔들리는 生’이던데 이 역시 이런 부분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중력과 부력 사이에서 우리는 온 몸을 휘저으며 어딘가로 떠내려가고 있는 것을지도 모른다. 그런 인물들이, 인물들의 삶이 작가의 문장을 만나 어떻게 표현되었을지 기대된다.

 

 

 

 

  우선 이 책의 책소개란에 처음 등장하는 ‘체코가 낳은 움베르트 에코’라는 말이 나의 시선을 잡아끌었다. 그리고 미리보기로 본 책의 구성과 앞에 있는 ‘프라하에게 바친다’라는 문장, 1부 시작에 붙어 있는 T.S 엘리엇의 시 구절이 이 소설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특히 이 책을 보면 책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일곱 성당이라는 공간이 중요하게 차지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 점과 소설의 시작 전 작가가 써놓은, ‘프라하에게 바친다’라는 문장을 겹쳐서 생각해 보면 이 소설에서 공간이라는 것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직접 확인해 보고 싶어진다.

 

 

 

  윤고은 작가의 2번째 소설집이 나왔다. 첫 소설집이 나온게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벌써 4년이 지났다는 사실이 뭔가 새삼스러웠다. 윤고은 작가를 세상에 알리게 한 작가의 첫 장편『무증력 증후군』, 또 이 작가의 첫 소설집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번 소설집 역시 작가의 반짝반짝한 상상력을 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그 상상력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고독하고 내밀한 개인을 만나 하나의 새로운 이야기를 탄생시킨다. 다른 문학상들의 수상작품집이나 계간지에서 읽었던 단편들도 있지만 아직 읽어보지 못한 단편들도 있는데 이 단편들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 예상된다.

 

 

 

  성석제 작가의 새로운 장편이 나왔다. 계간지에 연재할 당시 부분, 부분만 봤던 기억이 있는데 어느새 이렇게 책으로 묶여 나온걸 보니 반가웠다. 성석제 작가라고 하면 재미 있는 이야기, 입담 좋은 서사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이 소설의 책소개를 보면 주인공인 그의 가족을 비롯해 친구, 동료 등 그를 둘러싼 수많은 인물들이 차례로 화자로 등장해 그에 관한 에피소드를 회상하며 진술하는 독특한 형식으로 진행된다는 말이 있다. 그 뒤에 이은 문장들을 보면 ‘그들이 각자의 처지에서 각자의 시선으로 본 만수의 일면, 그들이 보고 겪은 각각의 장면들이 하나하나 짧은 이야기를 이루고, 그것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한 사람의 인생이라는 입체적이고 커다란 그림을 만들어낸다.’라는 말이 있는데 우리 역시 삶을 살면서 어떤 사람의 일면만을 보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게 되었고 이런 부분을 작가님이 어떻게 소설의 이야기로 풀어내셨을지 궁금해졌다.

 

 

   존 버거의 신작이 나왔다. 이 문장 하나가 사실 이 책을 기대하는 신간으로 뽑은 이유의 전부라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그리고 다른 이유를 찾다가 눈에 들어온 것은 이 책의 부제이다. 제목은 ‘킹’이지만 거기에 붙은 부제는 ‘거리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책소개를 보면 이 책의 부제가 왜 거리의 이야기인지 알게 된다. ‘킹’이라는 이름의 개가 바라본, 유럽의 어느 도시 근교 노숙인들의 삶을 그린 작품으로, 단 하루 동안의 이야기라는 말이 등장하기 때문. 이 소개를 보면 개가 바라본 도시 근교의 모습, 개가 바라본 노숙인들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지, 또 단편도 아닌 장편에서 단 하루 동안의 시간이 어떻게 들어가 있을지 궁금증이 발생한다. 너무도 빠르고 너무도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의 우리들에게 단 하루라는 시간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라는 생각 또 노숙인들에게 있어서 하루는 우리의 하루와는 같지만 어떻게 다를까, 라는 생각들을 하다 보니 더욱더 빨리 이 책을 읽어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육체쇼와 전집 문학과지성 시인선 428
황병승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년 전에 읽고 최근에 다시 읽었다. 우리는 우리의 육체로 끊임없이 실패를 겪고 또 겪어 내는 것이고 어쩌면 이 사실만이 우리의 유일한 전집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한 귓속말 - 문학동네시인선 기념 자선 시집 문학동네 시인선 50
최승호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0명의 시인의 얼굴을 가만가만 바라보다가 그들의 시를 따라 읽고, 또 그들이 써내려간 덧글들을 읽어 보는 날들. 그것만으로도 잠시나마 시인과 얼굴을 마주한 기분이 드는 근사한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그때 다 기다렸다 시작시인선 153
정다운 지음 / 천년의시작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이 시집을 펼치면 첫 시부터 너무 아프다. 시를 읽어나가는 것이 몸을 두들겨 맞는 것처럼 느껴지는 시집이다. 그만큼 고통은 감각적으로 시 안에 살아 있다. 이 고통을 읽고 어떤 생각을 할 것인지, 무엇을 할 것인지, 그건 독자의 몫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