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순 - 2014년 제3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편혜영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몬순>은 앞을 읽으면서 뒤가 예상되고 뒤를 읽으면서는 뭔가 허무해지기까지 하는 작품이었다. 이게 편혜영작가가 가진 역량의 최대라는 생각도 들지 않는다. 그래도 현재 활동하는 작가들의 작품들을 고루 읽어 볼 수 있다는 것은 반갑고 좋은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자의 아침 문학과지성 시인선 437
김소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 안에 배어있는 슬픔이 시집을 덮고 나면 어느새 내 안에 배어있다. 우리는 그 슬픔을 그대로 삼켜 슬픔 자체를 느껴볼 수도 있고 그것을 매개로 다른 대상을 느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각설하고, - 김민정 산문
김민정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의 솔직하고 발랄한 생활의 단면들을 읽으며 내 생활의 단면들을 끄집어 보게 되는 책. 빌헬름 사스날의 그림과 네이비 칼라의 조합으로 된 표지도 정말 굿굿!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픈 짐승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9
모니카 마론 지음, 김미선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는 소설 속 ‘나’의 무조건적이면서 무모한 사랑에 압도당해 그녀의 사랑에 휩쓸리듯 책을 읽어 나갔었다. 그런 탓에 그녀 외에 다른 인물들, 예를 들면 한 순간 미망인이 되어버린 지빌레나 기찻길에서 끔찍하게 생을 마감한 힌리히 슈미트 같은 인물들은 눈에 담을지언정 미처 마음에 담지는 못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두 번째 읽게 되니 화자인 ‘나’의 삶이 처음보다 더 폭 넓게 다가오면서 그녀의 삶 속에 있으면서, 그녀의 삶과 다른 듯 닮은 주변 인물들의 삶 역시도 눈에 그리고 마음에 들어오게 되었다.

   주인공 ‘나’를 비롯한 ‘나’의 주변 인물들은 모두 사랑 때문에 고통스러워한다. 그리고 그런 인물들의 바닥에는 독일의 분단과 통일이라는 역사가 깔려있다. 이로서 소설은 한 국가의 역사를 개인의 역사처럼 내밀하게, 개인의 역사를 국가의 역사처럼 공적인 것으로 만들어 보여 주게 된다.『한국 작가가 읽어주는 세계문학』에서 신형철 평론가는 소설의 이런 부분에 대해 ‘독일의 분단과 통일이라는 역사적 격변이 개인의 삶에 가져온 엇갈림과 비틀림을 그녀 주위의 다른 인물들을 통해 포착해 내면서, 이 소설이 그리는 사랑의 사건을 역사의 사건으로 끌어올린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인물들은 모두 사랑 때문에 고통스러워한다. 이건 다시 말해 삶 때문에 고통스러워한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이들이 삶의 한 부분으로 사랑을 이야기 하지만 나는 이 책을 읽은 후 어쩌면 삶은, 사랑의 한 부분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이 소설의 ‘나’인 그녀의 인생을 따라 가다보니 자연스레 이런 생각에 닿게 된 것이다.

 

 

‘내 사랑과 나를 구분하지 않는다.’

   소설 속 주인공은 연인 프란츠와 헤어진 후 외출을 하지 않는 것은 물론 집 안의 모든 거울을 깨뜨린다. 이에 그치지 않고 연인이 남기고 간 안경을 쓰고 생활하면서 자신의 시력까지 망가뜨리게 된다. 그러면서 주인공은 ‘내 사랑과 나를 구분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세상은 물론 시력이 망가져 자기 자신의 몸조차 제대로 보지 못하는 상태로 망가뜨리는 것. 이별 후에 이렇게 주인공이 세상과 자신의 관계를, 또 자신과 자신 스스로의 관계를 부서뜨리는 것은 프란츠가 ‘나’에게는 곧 세상이었으며 자기 자신이었기 때문이다.

소설 전체에 걸쳐 모니카 마론의 아름다운 문장들을 만날 수 있지만 특히 이런 사랑을 잃은 주인공의 상태를 말하는 소설 초반에서 그 문장들은 더욱더 아름답고, 슬프며, 그렇기에 말 그대로 빛을 발한다.

 

 

“아름다운 동물이군요.”

   이 말은 ‘나’의 사랑인, 프란츠가 ‘나’에게 처음 건넨 말이다. 물론 이 문장이 향하고 있는 대상은 ‘나’가 아닌 아주 오랜 전에 멸종해버린 공룡의 화석이지만 나는 이 말이 동시에 주인공을 향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나는 소설 속 거대한 공룡의 화석에 자주 ‘나’의 어떤 부분들을 겹쳐보게 되었다. 아주 오랜 시절을 죽은 채로 보내온 공룡의 화석은 마치 프란츠와 이별한 후 어떤 면에서 죽음을 맞이한 주인공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었다.

   소설 중반부를 넘어서 ‘나’가 프란츠와 그의 부인이 함께 여행을 떠나는 모습을 지켜본 후 이 공룡화석을 찾아가는 장면이 나온다. ‘나’는 여기서 ‘프란츠에 대한 내 감정의 억제할 수 없는 성질이 공룡성에 있었다는 것을 나는 나중에야 비로소 깨달았다.’라고 이야기하며 이런 공룡성에 대해 ‘원시적인 어떤 것’, ‘격세유전의 폭력성’ 등을 이야기한다. 이런 서술들과 반복해 등장하는 공룡 화석의 이미지는 ‘나’가 하는 사랑의 부드럽고 아름다운 부분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어떤 단단하고 아주 원초적이기도 한 복합적인 결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슬픈 짐승’

   나는 이 소설을 읽고 100자 평에 이렇게 썼다. ‘ ‘슬픈’ 상태와 ‘짐승’의 어떤 상태. 이것은 곧 소설 속 ‘나’가 하는 사랑의 상태이며 우리 모두가 사랑할 때의 상태이기도 하지 않을까. ’라고. 그리고 나는 덧붙여 생각했다. 우리 모두가 조금 더, 제대로 슬퍼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사랑 속에서도, 삶 속에서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문학동네 시인선 32
박준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년쯤에 걸쳐 세네번을 정독해 읽었다. 진정한 슬픔이란 게 사라져버린지도 모르는 이 시대에, 박준 시인은 자신의 언어로 그냥 슬픔 자체가 되어버리려고 하는 게 아닐까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