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시대에나 여성에게 아름답다고 하는 특성은 그 시대가 바람직하게 여기는 여성의 행동을 상징할 뿐이다. 아름다움의 신화는 언제나외모가 아니라 실은 행동을 처방하려고 했다. - P36
무엇보다도 시급히 여성의 정체성이 "아름다움"에 근거해야 하는 것은 그래야 우리가 계속 외부의승인에 취약한 상태가 되어 삶에 아주 중요한 자부심이라는 민감한 기관이 비바람에 노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 P36
아름다움의 신화는 원래 여성의 영역을 구성하는 요소인 양 가장하고 나타난, 다른 어떤 것들보다 여성을 가두기에 좋은 사회적 허구 가운데 하나였다. - P38
제약과 금기, 억압적인 법의 처벌, 종교적 명령, 임신과 출산의노예화가 충분히 힘을 발휘하지 못하자, 대신 그것이 해방된 여성의얼굴과 몸에 그 모든 것을 가했다. 아무리 해도 끝이 없고 해도 또다시해야 하는 집안일, 역시 아무리 해도 끝이 없고 해도 또다시 해야 하는아름다움을 위한 일이 대체했다.
경제와 법, 종교, 성, 교육, 문화를 개방해 여성이 더욱 공평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 사적 현실이 여성의 의식을 식민지로 만들었다. "아름다움"에 관한 관념을 이용해 법과경제, 종교, 성, 교육, 문화로 여성의 세계를 새롭게 재구성했고, 이런요소들은 전에 사라진 것 못지않게 억압적이었다. - P39
현대 여성을 "아름다움" 으로그리는 것은 모순이다. 현대 여성은 성장하고 움직이며 자신의 개성을표현하는데, 아름다움의 신화 속 "아름다움"은 정의상 고정된 것,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것, 독특하지 않고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 P40
이런 무의식적 환각이 갈수록 영향력을 발휘하며 널리 퍼지는 것은의식적인 시장의 조작 때문이다. 강력한 산업들 14(1년 매출이 330억 달러에 이르는 다이어트 산업 16과 200억 달러에 이르는 화장품 산업, 3억 달러에 이르는 미용성형수술 산업 16, 70억 달러에 이르는 포르노 산업 17)이 무의식적 불안을 밑천삼아 나타나더니, 이제는 대중매체에 대한 영향력을 통해 그런 환각을이용하고 자극하고 강화해 급성장하고 있다. - P40
경제학자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John Kenneth Galbraith 는 "집안 살림을 숭고한 소명‘으로 보는 시각이 존속하는 것"을 경제적으로 설명해준다. 여성은 원래 여성의 신비에 사로잡혀 있다는 생각을 "우리에게 강요한것은 여성이 소비자 역할을 하는 것이 산업사회의 발전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숨기려는 통속적 사회학과 잡지, 소설이다. (…)
경제적이유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사회적 미덕으로 탈바꿈했다." 19 그런데여성의 주요한 사회적 가치를 고귀한 가정을 이루는 것만으로 규정할수 없게 되자, 아름다움의 신화가 그것을 곧바로 고귀한 아름다움을얻는 것으로 재규정했다.
새롭게 해방된 여성을 장악할 수 없게 된 낡은 소비자의 책무와 직장에서의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낡은 근거를 새로운 것으로 대체한 것이다.
⭐⭐⭐ - P42
남성이 여성의 "아름다움"을 남성 사이에 유통되는 일종의 통화로 사용하면서, 산업혁명 이후 "아름다움"에 대한 관념이 돈에 대한 관념과 나란히 진화해 두 가지 모두 소비경제에서 사실상 유사한 것이 되었다.
여성이 100만 달러처럼 보이고, 여성이 일등급 미인이고, 여성의 얼굴이 여성의 재산이다. ⭐⭐⭐⭐⭐ - P47
권력구조는 소수 집단에서 가장 두려운 것들을 복합적으로 지닌 프랑켄슈타인 같은 무시무시한 집단을 정확히 알아보았다. 아름다움을토대로 한 차별이 필요해진 것은 여성이 일을 잘하지 못할 거라는 인식 때문이 아니라 지금처럼 두 배나 더 잘할 거라는 인식 때문이다.
그리고 ‘올드보이 네트워크 (하연, 지연 등 여러 연줄로 얽혀 강고한 기득권층을 이루는 남성 집단 옮긴이)‘는 이 집단에서 다른 소수 집단에서는 보지못한 훨씬 큰 괴물을 본다. 여성은 소수 집단이 아니기 때문이다. 여성은 전체 인구의 52.4퍼센트로 다수 집단이다.
⭐⭐⭐⭐⭐ - P49
매릴린 워링도 "남성이 세계 인구의 반이 거의 무보수로 일하는 체제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바로 그렇게 거의 대가도 받지 않고 일하는 까닭에 그 반이 다른 것을 위해 싸울 힘이 없을지도 모른다"라고 했다.
미국의 전국여성조직NOW.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의 패트리샤 아일랜드 Patricia Ireland도 이에 동의해, 명실상부한 실력주의사회라면 남성이 "직장에서 더 경쟁하고, 가정에서 집안일을 더 많이해야 한다" 30라고 밝혔다.
이 열망의 메시지가 간과한 것은 실력으로치면 여성에게 갔을 일자리를 꿰차고 있는 지배 엘리트층의 절반이 보인 반응이다. 만일 여성이 자유롭게 사다리를 오를 수 있었다면, 그들은 그 자리를 잃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 - P54
여성이 전문적인 주부의 역할과 전문적인 직장인의 역할, 전문적인 미인의 역할까지 모두 해야 했다. - P56
1980년대에는 앵커를 스카우트하는 해드헌터들이 "남성 앵커: 40~50세 47 같은 범주에 드는 사람들만 시험용 테이프를 찍었는데 여성에게는 그 같은 범주가 없었고, 여성 앵커는 뉴스 전달 능력이나 경험보다 외모를 우위에 놓았다. 그런 뉴스 팀이 주는 메시지는 읽기 어렵지 않다. 힘 있는 남성은 개성이 있는 개인이고 (그 개성이 비대칭 이목구비로 표현되는 주름살이나 흰머리,부분 가발, 대머리, 둥글납작하거나 땅딸막한 모습, 안면 경련, 살이 늘어진 목으로 표현되는 상관없이) 나이 들어 원숙한 것도 그가 힘이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
만일 기준이 하나만 있어 TV 저널리즘에 종사하는 여성에게 적용하는 기준을 남성에게 똑같이 적용했다면, TV 저널리즘에 종사하는 남성은 대부분 고용되지 않았을 것이다. - P67
TV에 나오는 여성의 처지는 직업에 필요한 아름다움이라는 자격조건 일반을 상징하고 강화한다. 여성에게는 윗사람이라는 것이 특권이 아니라 지워짐을 뜻한다. 여성 앵커 크리스틴 크래프트ChristineCraft는 40세가 넘은 TV 앵커 중 97퍼센트가 남성이고 "나머지 3퍼센트는 자기 나이 같지 않아 보이는 40세쯤 된 여성이다" 4B라고 주장한다. - P68
결국 그것이 전하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서양에서 상징적인 직장 여성도 "아름다우면 일을 못해도 눈에 보이지만, 일을 잘하는데 "아름다우면 눈에 보여도 실력을 인정받을 수 없고, 일을 잘해도 아름답지않으면 눈에 보이지 않아 실력이 있어도 소용없다는 말이다. 게다가아무리 일을 잘하고 아름다워도 나이가 들면 사라질 수 있다. - P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