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평생 이보다 흉한 벽지는 본 적이 없다. 제 멋대로 뻗어 나가는 조악한 무늬는 예술에 있어 죄란 죄는모두 저지르고 있는 듯 했다.
- P21

죄 sin: 물론 예술의 법칙에 따르지 않는 벽지의 무늬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지만, 정상 vs 비정상, 선 vs 악 그리고 죄와 벌은 권력에 따라 자의적으로 정해지는 면이 있다.
- P21

벽지 안에는 나 밖에 모르는 것들이 있다. 아마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 테지만, 겉에 도드라진 문양 뒤로 희미한형체가 나날이 또렷해지고 있다는 사실. 늘 똑같은 형체인데, 수가 점점 늘어난다.
- P53

옮긴이 주석

31 낮과 밤 그리고 해와 달이 이루는 대조는 이 작품을 이해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이항대립의 개념으로 볼 필요가 있다. 남성 vs 여성, 이성 vs 광기 등의 이항대립은 앞에 나오는 개념들(낮, 해, 남성, 이성, 백인, 선)이 뒤에 나오는 개념들(밤, 달, 여성, 광기, 흑인, 악)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각인시키며 서구의 이성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 백인중심주의의 뼈대를 구성한다. 어쩌면소설 속 여성인물이 갇힌 공간은 이러한 이항대립이 만들어낸 억압과 공포를가시화하고 공간화한 것일지도 모른다.
- P55

최악으로 기묘한 누런색이야, 저 벽지! 내가 지금까지봤던 온갖 누런 물건들을 연상시킨단 말이지. 미나리아재비 같은 예쁜 노랑 말고, 낡고 더럽고 정말 별로인 그런누런 것들.
- P73

여성학의 선구자인 메리 울스톤크래프트는 "이세계는 거대한 감옥이 아닌가! 그리고 여성들이노예로 태어날 수밖에 없는 곳이 아닌가!"라고 말한 바 있다. 소설 「누런 벽지는 바로 이러한 감옥속에 감금된 채 자유 의지를 포박당한 여성에 관한 이야기이다.  - P109

표면에 나타나는 메인 텍스트 이면에 숨겨진 하부 텍스트를 읽어내는 것은, 마치 사회 속에서 힘을 쥔 지배계층의 목소리에 가려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하층민의 목소리를 듣는 것과도일맥상통한다. - P114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2-01-06 19: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지금 이 작품 읽었는데 그로테스크 하면서도 왠지 어렵네요 ㄷㄷ

미미 2022-01-06 20:07   좋아요 1 | URL
그로테스크 딱이네요ㅋㅋ약간 웃긴 부분도 있지 않았나요? 남편에 대해 반어법도 쓰고 그러더라구요. 아무래도 이 책에 주석과 해설이 더 디테일한듯합니다^^

새파랑 2022-01-06 20:10   좋아요 1 | URL
저도 어렸을때 감기에 걸려 누워있는데 벽지의 무늬가 움직이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어서 좀 무서웠어요 ㅎㅎ

이건 답지(해설)이 필요합니다 ㅋ 미미님 리뷰보고 어느정도 이해했어요 ^^

미미 2022-01-06 20:17   좋아요 1 | URL
저에게도 <스타킹>이 있어서 지금 펼쳐보니 거의 설명이 없네요?!! 이 책은 몇몇 페이지 아래 주석까지 설명이 잘되어있어요. 심지어 왼쪽 페이지는 영어예요(영어 공부도 좀 하라고?ㅎ) 저도 어릴때 벽지그림 보고 별의별 이미지를 다 봤었어요ㅎㅎㅎ 약간은 무서웠지만 설명 때문인지 유쾌하게 읽었어요. 문학동네가 나빳네요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