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문제는 여성들 사이에서 본질적 딜레마로 등장함과 동시에 학자, 정치가, 과학자들이 심사숙고해야 하는 이슈가 되어 공적 삶의 영역으로 진입했다. 그 문제에 대해 프로이드Freud 보다 더 분명하게 인식한 사람은 없다.

역사적으로 사람들은 여성성의 본질이라는 수수께끼를 풀고자 골머리를잃았다. … 당신이 남성이라면 당신은 이 문제에 대한 걱정에서 벗어날 수없다. 당신이 여성이라면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바로 당신 자신이 그문제이기 때문이다.
- P48

과학은 시장과 함께 성장했다. 과학은 경험적 사실에 대한 충성,
실리적인 실용주의, 수적 개념 등 상업 정신의 가장 혁명적인 부분을 취해 물질세계의 이해와 지배를 위한 정밀 도구로 만들었다.
- P50

18세기와 19세기의 과학은 가부장제의 전통적 장식물인 귀신, 수수께끼, 미신숭배의 공공연한 적이었으며 혁명가들의 오랜 친구였다. 

카를 마르크스KarlMarx 같은 사회주의자들과 샬롯 퍼킨스 길먼 같은 페미니스트들은 불의와 지배에 대항하는 해방의 힘인 과학의 열광적인 신봉자였다. 

한 파리코뮌ParisCommune 참가자는 "오래전에 우리가 이루었던 것을 결코 잊지 말자."며 "과학과 철학이 폭군에 대항해 싸웠다."고 선언했다.  - P51

아이러니하게도 페미니스트 관점은 남성우위론과 공통점이 있다.
페미니스트 관점은 시장의 편에서 여성의 세계를 본다. 페미니스트 관점은 여성의 세계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지만 시장이 여성을 배제한 경우가 아니라면시장에 대해서는 거의 무비판적이다. 

샬롯 퍼킨스 길먼은 가정은 "원시적"이며, 여성은 가정에 감금된 결과 거의 다른 종으로 분리될 정도로 발달이 정지되어 고통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 P55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04-06 12: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아 미미님도 시작하셨어요?! 아아 기대됩니다. 앞으로 미미님이 이 책을 읽고 무엇을 느끼고 어떤 것들을 써주실지. 저도 곧 읽겠습니다. 아 씐나요!! >.<

미미 2021-04-06 12:25   좋아요 0 | URL
네~♡ 지난번에 너무 늦게 끝내서 서둘렀습니당!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