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돌보는 고양이 단비어린이 문학
신은영 지음, 노은주 그림 / 단비어린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커다란 나무와 나무 주변을 예쁘게 단장해 주는 느낌이 드는 꽃들, 그리고 고양이 3마리가 정답게 느껴지는 책표지다.


고양이는 어떻게 나무를 돌보게 되었을까?



새 학년이 되고 나서 한 달이 지난 시점에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낯선 친구들과 선생님을 만나는 아이들에게 주인공 '참새'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었다.


우연한 사고로 수목장에 홀로 남겨진 작은 고양이의 이름은 '참새'다.


낯선 곳에서 새로운 고양이도 만나고, 여러 가지 일들을 겪는 참새의 이야기는 아이들의 모습과 닮아 보였다.





특히 낯선 고양이 번개의 위협에 두려움을 느끼고 가족과 떨어진 슬픔으로 힘겨워하는 참새의 모습은,


친하게 지내던 친구들과 떨어져 혼자 다른 반이 된 아이가 느끼는 느낌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었다.




참새가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며 수목장에서 적응해나간 것처럼 아이가 새로운 반의 친구들과 함께하면서 반에 적응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참새는 수목장에 찾아오는 사람들을 보면서 슬픔과 동시에 각자 소중한 추억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게 된다.


가족을 잃은 슬픔에 잠겼지만, 가족과 함께한 아름다운 추억이 있었고, 그 추억으로 미소 지을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참새의 이야기를 읽으며 아이는 자신이 친했던 친구들과 언제든 만날 수 있고, 또 함께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조금 기운을 내는 아이의 모습에 함께 책 읽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새는 수목장의 나무들을 돌본다. 나무를 가꾸고, 잡초를 뽑으면서 뿌듯함을 느끼는 참새의 모습을 아이는 어떻게 느꼈을까?




<나무 돌보는 고양이> 참새를 보면서 새로운 반에 대한 아이의 걱정과 불안감이 조금이나마 덜어지는 시간이었던 것 같다.



참새의 이야기가 아이에게도 따뜻한 위로와 격려가 되었기를 바라본다.


앞으로 아이가 학교생활 속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일들을 씩씩하게 헤쳐나가고 새로운 친구들과도 좋은 추억들을 만들어가길 바란다.





#신은영 #나무돌보는고양이 #단비어린이 #도서출판 #가치창조 #단비 #새학기 #학교적응 #홀로다른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완벽한 아이 단비어린이 문학
소중애 지음 / 단비어린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속도에 맞춰 춤추는 엄마, 행복 육아의 시작 『완벽한 아이』



"지금 7시 20분이야"


아침마다 아이와의 전쟁이다.


꼬물꼬물 일어날 생각 없는 아이는 겨우겨우 일어나 옷을 챙겨 입는다.


옷을 단계별로 입는 아이는 옷 입는데만 10분 이상 걸린다.


아이가 조금 더 빨리했으면 하는 마음이 넘쳐나다 못해 답답하게 느껴진다.


주인공 라온이는 완벽한 아이다.


스스로 좋아하는 것을 하기보다는 어른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애쓰는 아이이기도 하다.


라온이를 보면서 무의식적으로 아이에게 내가 원하는 완벽함을 강요하고 있는 것으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스스로 하는 아이, 스스로 일어나는 아이, 스스로 밥 먹는 아이


뭐든 스스로 하기를 바라는 나의 마음이, 엄마에게 사랑받고 어리광 받고 싶은 아이의 마음을 못 보게 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가 집을 비운 사이 완벽했던 아이는 다른 모습으로 변한다.


학원도 안 가고, 길거리 음식도 먹고, 마음껏 뛰어노는 라온이를 보면서


아이가 진정 원하는 것을 한 번도 물어본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달라진 라온이를 보며 걱정하던 라온이 엄마와는 달리, 라온이는 비로소 자신의 행복을 찾은 것 같았다.


이 부분을 읽으며 아이의 행복보다 엄마의 욕심을 앞세우고 있지 않았나 하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아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모습으로 성장하고 싶어 하는지 귀 기울여 들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아이를 만나기 전에 마음을 가다듬자.


아이는 1차 고객이다.


고객을 만나는 마음으로 마음을 다잡고, 최선을 다해 임하자.



아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겠다.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것을 힘들어하는지 세심하게 관찰하고 대화를 통해 알아가도록 노력해야겠다.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공감하며,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시간을 하루 10분 이상 가져야겠다.



실패를 통해 배우는 용기를 심어주자.


완벽한 결과만을 좇기보다, 실패를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자.


아이가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주자.


완벽한 아이를 원하기보다,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는 아이가 되기를 응원하고 지지해 주고 싶다.



#완벽한아이 #소중애 #단비어린이 #도서출판 #가치창조 #단비 #육아 #부모가볼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넌 어떻게 보이니? - 2024 화이트 레이븐스 선정 도서
빅토르 벨몬트 지음, 용희진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테이블을 둘러싸고 앉아 있는 사람들을 배경으로 한 남자가 팔짱을 낀 채 물어본다.

"넌 어떻게 보이니?"

어떤 그림책일까?

무지갯빛 안경에 시선을 고정한 채 책표지를 좀 더 살펴보았다. 

테이블에는 다양한 사람이 앉아 있다. 

이들이 어떤 사람들일까? 묶어본다면 친척을 떠올려볼 정도였다. 

그 정도로 각기 각색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무엇을 보고 하는 질문일지 궁금해하며 책장을 넘겨보았다. 



가족들이 식사 테이블을 두고 둘러앉았다. 

이 장면을 가족들은 각자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담고 있는 그림책이다. 

하나의 장면을 각자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음을 알아차리게 한다. 


 '우리가 보는 세상은 정말 다 똑같을까?' 

그림책에서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가족 식탁 풍경을 각자의 개성에 따라서 다르게 보여준다. 

단순한 그림과 이야기지만 그 속에 담겨있는 철학적 질문을 엿볼 수 있다. 

그림책을 보면서 가장 인상 깊은 부분은 서로 다른 시선들을 가지고 있는데도 충돌하지 않고 조화롭게 공존하는 모습이었다. 


각자 다른 '안경'을 쓰고 세상을 바라보고 있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식탁에 둘어 앉아있다. 

그림책을 보면서 최근 배우고 있는 에니어그램과 연결되는 느낌이었다. 

한 가지 장면을 9가지 유형별로 각기 다르게 느낀다는 사실을 알고 놀라웠는데 그림책의 모습이 비슷하게 느껴졌다. 

그림책을 보면서 등장인물의 에니어그램을 파악해 보는 재미도 있었다. 



그림책과 함께 온 독후 활동지이다. 

책을 조금 더 깊게 들여다보고 생각할 수 있는 활동들이 가득 담겨 있어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좋을 것 같다. 



<넌 어떻게 보이니?> 그림책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안경'이라는 것이 얼마나 주관적인지를 깨닫게 해준다. 

나는 어떤 안경을 쓰고 있을까?

그 안경으로 어떻게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고, 행동에 영향을 받고 있을까?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어떨까?

우리 가족들은 서로 다른 시각을 어떻게 공존하고 있을까?

서로 다른 시각을 이해하고 존중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나의 안경을 알아차리면 타인의 시선을 더욱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게 된다. 

그림책을 보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안경'의 한계를 인식하고 더 넓고 다양한 시각을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했다. 

이 책을 통해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안경'을 인식하는 시간을 가져보기를 바란다. 






#넌어떻게보이니 #빅토르벨몬트 #미래아이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컬처블룸리뷰단 #도서무상지원 #존중 #다름 #인정 #같은장소 #다른시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꼬붱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56
홍홍 지음 / 길벗어린이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꼬꼬붱> 그림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



책표지와 제목을 보고 병아리들과 부엉이가  친구처럼 지내게 되는 내용일 거라 생각했다. 



귀여운 병아리와 귀여운 부엉이의 조합이기에 귀여운 걸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




기절해있는 부엉이를 병아리들이 옮기고 있는 걸까?



아이들과 책표지를 보며 무슨 내용일지 상상해 본다. 








날 때부터 남달랐던 꼬꼬붱은 크면 클수록 유별나다. 




"재 병아리 맞아?'



주변 동물들이 모두 수군거린다. 



자신이 부엉이라는 것을 알아버린 꼬꼬붱이 가족들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안타까웠다. 





꼬꼬붱의 모습을 보고 닭 가족들은 꼬꼬붱의 다름을 비난하거나 거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따뜻하게 감싸준다.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느끼는 시간이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장면이었다. 



아이들을 대하면서 아이들의 다름을 이해하고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는지를 생각해 보며 반성하는 시간이기도 했다. 






가족들과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 꼬꼬붱의 마음은 어떘을까?





꼬꼬붱처럼 내가 남들과 다르다고 느낀 적이 있을까?



부엉이인 꼬꼬붱은 병아리 시점으로 보면 낮에 졸기만 하고, 등치도 크다. 



나를 다른 사람의 관점으로 보면 못하는 것이 있을 수 있고, 못나 보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있는 그대로 보면 어떨까?



꼬꼬붱은 남들 자는 밤에 깨어있고, 밤에 눈도 잘 보이고, 사냥도 잘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나는 아침에 잘 일어나고, 밥도 잘 먹고, 스스로 자기 할 일을 하고, 학교나 회사에 가는 일과를 잘 해나가고 있다. 



그  자체가 내가 잘 하고 있고, 잘 해내고 있는 것이다. 





각자 잘하는 것이 있고, 잘 해내는 것이 있다. 



남들과 비교하기보다 자신이 가진 자신의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해 본다. 




<꼬꼬붱>은 닭장에서 태어난 아기 부엉이의 성장을 통해서 정체성, 다름,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하는 그림책이었다. 



<꼬꼬붱>을 통해 타인의 시선에 갇히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꼈다. 



각자 잘하는 것이 있고, 잘 해내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아이들도 기억했으면 좋겠다. 








#꼬꼬붱 #홍홍 #길벗어린이 #다름 #정체성 #가족 #가족의의미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개인적인 주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0번째 방
하야 셴하브 지음, 이르미 핀쿠스 그림, 문주선 옮김 / 토토북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번째 방> 그림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

아이들의 서랍에는 언제나 장난감이 넘쳐난다. 


닫히지 않는 서랍을 보면서 한숨이 난다. 


비슷한 물건이 있음에도 사고, 또 사는 아이들..


심지어 구입한 물건을 지나가다 만나는 친구에게 아낌없이 주기도 한다. 



그런 아이들을 보면서 돈의 가치, 물건의 소중함을 잘 모르는 것 같아서 걱정이다. 


<100번째 방>을 보자마자 아이들과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것이 행복한 것인가?



많이 가지고 있다고 행복할까?


많은 방과 물건이 있음에도 불행을 느끼는 남자의 이야기를 통해 아이들에게 물질의 양보다 소중한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주고 싶었다. 


===========================





집이 필요한 남자가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집을 한 채 지은 남자는 자신의 욕구를 마음껏 펼치며 집을 완성했다. 



완성된 집의 방은 총 100개였다. 



그 방을 보면서 남자는 완벽하다고 생각했다. 



각 방마다 물건을 채워 넣고, 정리를 마친 남자는 과연 행복했을까?



방을 많이 가지게 되었을 때 남자는 완벽하다고 생각했다. 


​책을 읽어가면서 이야기 흐름에 따라 남자의 표정에 집중해서 앞장으로 넘겨 남자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많은 방이 행복을 가져다줄 거라 여겼지만, 시간에 지남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중점을 두고 책을 읽어주었다. 



" 방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표정이 시무룩해요."



아이들은 이를 통해 물질이 많다고 해서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다.


​​




아이들과 가장 이야기를 많이 나눴던 장면은 물건이 많아 정리와 관리가 어려워진 부분이었다.  


"제 서랍도 물건이 너무 많아 닫히지 않아요."


"서랍에 물건이 많아서 찾을 수가 없어요."




아이들이 많이 공감했던 부분이었다. 


물질적으로 풍요한 것이 오히려 삶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부분이었다. 



책장을 덮으며 물질적 소유에 대한 관점을 새로 정립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정말 필요한가?'


물건을 구입하기 전에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는 습관을 가져야겠다. 



물질적인 것보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소중한 순간이나 경험을 더 가치있게 여기고 살아야 한다는 깊은 성찰을 하는 시간이었다. 



아이들과 함께 물건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키우고, 나눔의 기쁨을 느끼는 삶을 살아가야겠다. 


​​


 <100번째 방> 그림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물질적 풍요의 허상을 깨닫고,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하야센하브 #이르미핀쿠스 #100번째방 #토토북 #물질 #물질적풍요 #행복 #진정한행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