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케어
구사카베 요 지음, 현정수 옮김 / 민음사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현역 의사 출신의 작가가 노인 의료 문제의 위험성을 경고하고자 폐용신을 소재로 쓴 의학소설입니다. 폐용신(廢用身)이란 '마비 증세로 손상을 입어 영구적으로 불구가 된 신체'를 뜻합니다. 즉, 팔과 다리 등이 몸에 붙어는 있지만 제 구실을 하지 못해 오히려 간호 및 치료에 도움이 안 되는 쓸모없는 신체를 뜻합니다. 노인 의료 전문 클리닉의 원장 우리시하라는 이러한 노인 의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리성에 초점을 둔 획기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합니다. 바로 간호와 치료에 도움이 안 되는 팔과 다리를 절단하는 시술(A케어라 부릅니다)입니다. 의학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무척 혐오감과 반감을 불러일으킬만한 그런 치료 방법입니다. 원장 우리시하라의 이런 치료 방법은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동시에 비난도 함께 받습니다.


  이 작품에는 적나라하게는 아니지만, 팔과 다리가 쓸모없게 돼버린 노인의 절단 수술 장면이 등장합니다. 상상만으로도 솔직히 소름이 돋더군요. 시각적으로나 정서상으로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그런 파격적인 수술. 한 쪽 팔과 양 다리를 절단을 하게 되면, 머리와 몸통만 남게 됩니다. 따라서 한쪽 팔을 의지해서 다리가 없는 하반신으로 기어 다니게 됩니다. 몸무게가 100kg이 넘는 노인의 경우 가족들과 간호사들의 간호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습니다. 이동 및 수술에 무척 어려움이 따르니까요. 무엇보다 팔과 다리가 제 구실을 못합니다. 감각도 없고, 움직일 수도 없으니까요. 오히려 다른 병(욕창 등)을 유발시키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합리적인 차원에서 절단하는 것이 맞겠죠. 그러나 보기에는 이상합니다. 일반인들은 그런 사람의 형태(?)를 받아들일 수가 없으니까요.


  합법적으로는 이 A케어를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시하라는 불법적으로 이 수술을 11건이나 실시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획기적이고 파격적인 수술 방법에 관심이 있는 한 출판사 관계자가 취재를 하고, 우리시하라는 이 수술 관련 내용을 수기 형식으로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노인 의료 과연 문제가 없을까요? 일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앞으로 30-40년 뒤에는 노인의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오래 사니까요. 그리고 노인의 복지를 책임져야 할 젊은 층은 점점 줄어들고요(낮은 출생률). 이 많은 노인들의 의료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사실 심각한 문제입니다. 물론 지금의 노인들에게는 문제가 없습니다. 죽으면 그만이니까요. 그렇다면 지금의 30-40대는 어떨까요? 요즘 의료 민영화 문제도 조금 시끄럽습니다. 앞으로 30-40년 뒤 지금의 30-40대는 노인이 됩니다. 지금의 노인 의료로 괜찮은 것일까요? 아니면 극단적인 방법이기는 하지만, 우리시하라의 A케어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암튼 현직 의사 출신의 작가가 쓴 작품이라서 그런지 사실감이 느껴집니다. 미래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쓴 소설이기는 하지만, 비현실적인 예견은 아닙니다. 현재도 늘어나는 노인층은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니까요. 특히 우리나라처럼 복지가 엉망인 나라에서는 지금 30-40대의 미래는 어둡기만 합니다. 오히려 빨리 죽었으면 하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도 드네요. 나이가 들수록 아픈 곳은 많을 수밖에 없는데, 제대로 치료조차 못 받고… 무엇보다 팔과 다리 등이 제구실을 못한다면? 소변, 대변을 제대로 못 본다면? 가족들의 간호 부담도 그만큼 힘이 듭니다. 쓸모없는 팔과 다리를 절단하면 몸무게가 절반이 줄어듭니다. 그렇다면 치료 및 이동에도 매우 편리하죠. 물론 우리는 그런 사람을 마치 괴물 바라보듯이 바라볼 것입니다. 그런 편견과 선입견이 결국 치료 가능한 환자를 죽음으로 내몰 수도 있고요. 합리성이 우선이냐? 정서가 우선이냐?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 소설은 그런 노인 의료의 모순과 부조리를 단순히 고발하는 그런 지루한 형식의 작품은 아닙니다. 나름 추리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작품입니다. 11건의 A케어를 시술한 우리시하라가 어느 날 사라지고, 수술을 받았던 환자들에게는 뭔가 이상증후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치료 방법은 실패인가? 아니면 성공인가? 결말이 무척 궁금한 작품입니다. 고민하고 생각할 거리도 던져주고 있고요. 흥미 위주의 의학 미스터리를 기대하고 읽었는데, 생각보다 주제가 묵직해서 조금 놀란 작품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일홍 나무 아래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정명원 옮김 / 시공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끝나지 않은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 반갑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간츠 Gantz 37 - 완결
오쿠 히로야 지음 / 시공사(만화)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결이군요...ㅋㅋ 진짜 후반은 팬심으로 버틴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우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6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우 실망스러운 작품. 뭔가 초반의 유괴 사건과 범인을 쫒는 과정은 나름 긴박하게 전개되었으나, 결말 때문에 한 번 실망. 비슷한 포맷 때문에 또 한번 실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고] 경우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3년 1월
평점 :


매우 실망스러운 작품. 뭔가 초반의 유괴 사건과 범인을 쫒는 과정은 나름 긴박하게 전개되었으나, 결말 때문에 한 번 실망. 비슷한 포맷 때문에 또 한번 실망. 미스터리로서의 재미도 별로 없고, 주제는 조금 식상하고, 이야기의 결말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