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데이비드 이글먼 著, 김승욱 譯, 알에이치코리아, 원제 : Livewired: The Inside Story of the Ever-Changing Brain )”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생후배선(livewired)이라는 신경과학적 개념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책입니다. 한 동안 뇌가 가진 신경 가소성 (neuroplasticity)의 개념이 중요하게 다루어졌습니다. 신경가소성이란 성장과 재조직을 통해 뇌가 스스로 신경 회로를 바꾸는 능력으로 학습, 기억등에 의해 신경세포 및 뉴런들이 자극-반응에서 적합하게 환경에 적응해가는 변화하는 능력으로 뇌가 가진 적응성을 의미합니다. 저자는 신경가소성이라는 개념이나 용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뇌가 가지는 특징을 모두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성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태어났을 무렵 뇌는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나, 자라면서 상황과 환경에 맞게 적응하면서 모습을 바꾸고, 연결하고, 발전하는 개념으로 생후배선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뇌는 기계나 전자 회로와 같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 책의 주제입니다. 물론 뇌가 아주 백지상태에서 태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장착하고 있으며, 인간의 경우 언어를 흡수하고 다른 존재를 모방하는 능력 등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배운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빠와 엄마를 볼 수도 있지요. 하지만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태어나면서 장착된 기본 프로그램만으로는 살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대중 매체를 통해 접하는 뇌의 모습은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구역에서 각각 구체적인 일을 담당하고 있는 모습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형적인 뇌의 모습은 뇌를 설명하는데 아주 부족합니다. 뇌라는 시스템은 매우 역동적이고 주변 환경과 우리가 받아들이는 자극에 따라 항상 그 회로를 바꾸고 있습니다. 뉴런은 한번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그 연결점을 찾아 헤메고 있다고 합니다. 뇌는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항상 변하고 반영하며 조정합니다. 


이렇게 뇌는 역동적이며 항상 변화하는 존재입니다. 


얼마 전 흥미로운 기사를 읽었습니다. 태어났을 때 뇌의 2%만을 가지고 태어난 아이가 10살이 되었을 때 80%까지 뇌를 성장시켰다는 이야기였습니다. (https://www.lancs.live/news/local-news/boy-born-2-brain-beats-25794757 ) 이 기사를 읽으면서 이 책, “우리는 각자의 세게가 된다”에서 설명하고 있는 생후배선이라는 개념이 더욱 와 닿았습니다. 인간은 아직도 뇌를 비롯한 신경계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많은 과학자들이 신경 과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우리일 수 있게 해주는 기관이지만 아직도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 신기하면서도 앞으로 더욱 더 많이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로웠던 독서경험이었습니다. 




#우리는각자의세계가된다 #데이비드이글먼 #김승욱 #알에이치코리아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