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혁명가 카를 마르크스 청소년평전 25
박성원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 마르크스는 독일의 작은 도시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로 불평등한 사회제도를 비판하였다. 아버지 하인리히는 마르크스가 변호사가 되길 원했지만 마르크스는 철학자가 된다. 그는 찢어지게 가난한 형편에 자기의 고향에 정착하지 못하고 이 나라 저 나라 떠돌아 다녀야 했다. 그 당시 프로이센은 칼 마르크스의 사상을 적대적이고 무자비한 탄압으로 무시했고  그래서 마르크스는 공개적으로 자신의 사상을 펼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이라는 책을 펴내며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노동자들이 억압 받는 세상을 자신의 새로운 사상인 사화주의를 통해 바꾸려 했다. 그 당시 노동자들은 정말 힘들게 일하고 쥐꼬리만한 월급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자본론>에서는 왜 노동자가 가난하고 빈곤하게 살 수 밖에 없는지 설명돼 있다고 한다. 

  마르크스의 이 책들은 전 세계에 퍼지면서 세상은 새로운 사상과 만나게 되고 억압받는 노동자들의 큰 힘이 되었다. 그만큼 마르크스는 영향력 있는 인물로 떠오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1. 시험 마지막날 마지막 시간에 종소리가 "따라라라라~ 따라라라라~ 따라라라라 라라라라!" 울릴 때-(바로 내일 시험이 끝난다)

2. 더운 여름 정말 목마를 때 집에 들어와 냉수 한 잔 들이킬 때

3. 아빠가 출장가셔서 아빠 침대에서 잘 때

4. 자전거 타고 내리막길 달릴 때

5. 방학식 끝날 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케로로큐브입니다.












출처:제 네이버 블로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8-06-22 1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옷, 이건 색깔만 맞춘다고 되는 게 아니군요!

☞八학년☜ 2008-06-23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색깔만 맞춰도 그림이 맞춰지는데 간혹 한 가운데 그림만 180도 돌아가있을때가 있어요. 그럴땐 좀 신경써야죠^^.
댓글저장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창비아동문고 43
톨스토이 / 창비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톨스토이의 단편선을 읽었다.

첫번째 이야기는 이 책의 제목과 같은<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이다.

쎄묜은 아내와 아이들과 구둣방을 운영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쎄묜이 살던 시대는 러시아의 군주정치의 말기였다. 귀족들과 왕족은 백성들 돌볼 생각은 하지 않고 자기들끼리 놀고 먹기에 바빠서 백성들의 형편은 아주 여려웠다. 쎄묜도 형편이 어려운 건 마찬가지였다. 또, 식량은 비싸서 번 돈은 모두 먹는데 들어갔다. 모피 코트는 다 헤져서 누더기가 되어버렸다.

쎄묜은 2년째 새 모피코트를 지을 양가죽을 사려고 벼르고 있었다. 쎼묜은 이번 겨울에 돈이 모여 양가죽을 사려고 농부들에게 빌려준 돈을 받은 다음 양가죽장수에게 가려고 했다. 하지만 가난한 농부들은 돈을 쎄묜한테 갚을 수가 없었고 쎄묜은 허탕을 치고 집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쎄묜은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교회 뒤에 있는 벌거벗은 사람을 보고 그에게 자신의 옷을 입힌 후 같이 집으로 돌아왔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러시아 백성들의 형편이 매우 어려웠다. 쎄묜도 마찬가지 였다. 그런데 나는 쎄묜의 행동이 참 놀라 웠다. 양가죽을 못사서 열받았을 것 같은 상황에서 벌거벗은 사람에게 자신의 옷을 입혀주고 자신의 집에 데려간 것은 약간 비현실적이면서도 감명 깊었다. 아내와 아이들을 생각한다면 그 사람을 집으로 데려오지 말았어야 한다. 하지만 쎼묜은 그를 집으로 데려왔다. 이것은 아마 같이 어려움과 고통을 겪으면서 서로의 마음이 단합돼어 서로 도우며 사는 정신에서 나온것 같다.

두번째로 읽은 이야기는 <사람에게는 땅이 얼마나 필요한가> 라는 이야기이다.

빠홈이라는 농부는 많은 땅을 가지고 싶어서 여러사람들의 말을 들어가면 이리 갔다 저리 갔다 옮겨 다니며 땅을 넓혔다, 하지만 욕심 많은 빠홈은 자신의 땅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 넓은 땅을 차지하고 싶어서 욕심이 생기게 된다. 어느날 빠홈은 어떤 나그네를 만났는데 그 나그네가 말하길  땅을 자기가 가지고 싶은 데로 가질 수 있다는 마을이 있다고 했다. 그 말을 들은 빠홈은 더 넓은 땅을 차지하려고 그 마을로 가게 된다. 그 마을의 이장은 하루동안 걸어서 다시 돌아온 땅을 다 주겠다고 했다. 그래서 빠홈은 새벽부터 걸었다. 엄청나게 많은 땅을 걸은 빠홈은 이제 돌아가 땅을 얻어야 겠다고 생각하고 돌아갔다. 온몸은 지쳐서 망신창이가 되어있었고 빠홈은 후회를 했다. 너무 욕심을 부린 것이다. 해는 저물어가고 눈앞에 도착지가 보였다. 빠홈은 죽을힘을 다해 뛰었다. 그리고 도착했다. 그는 도착하지마자 쓰러졌고 그는 이제 이 세상사람이 아니었다.

 욕심이 지나치면 화를 부른다. 빠홈의 경우가 그렇다. 무슨일이든 자기 분수에 맞게 행동하고 욕심 부리면 안 된다. 아무리 좋은 것이 많고 값진것이 많이도 그 물건들은 그냥 인생을 편하게 살수있는 물건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은 복권에 당첨하거나 산삼을 캐서 부자되는것에 욕심부리기 보다는 자신은 마음을 깨끗이 걸레질 하는것에 욕심을 부려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어린이를 위한 몰입 수업] 서평단 알림
[서평도서]어린이를 위한 몰입수업
어린이를 위한 몰입 수업
김진섭 지음, 김상민 그림 / 파랑새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게임을 할때나 만화책을 읽을때 그 일에 푹빠지는것을 몰입이라고 한다.

  하지만  모든 것에 몰입이 될 수는 없다. 자신이 정말 하고 싶어하는 것에 몰입이 된다. 공부를 싫어하는 아이들은 공부에 몰입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하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어린이들 중에서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진짜 몰입은 공부가 아닌 자신의 꿈, 자기가 되고 싶은 장래희망이나 소망에 몰입하여 그 꿈을 이루어 내려고 노력할 때 몰입의 진짜 힘이 나타난다. 즉 몰입의 힘은 아무 일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여태껏 게임같은 노는,것에만 몰입을 했지만 이제 나의 꿈을,위해 몰입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서평도서]어린이를 위한 몰입수업
    from 『책교실』 2008-05-11 18:11 
      내가 게임을 할때나 만화책을 읽을때 그 일에 푹빠지는것을 몰입이라고 한다.   하지만  모든 것에 몰입이 될 수는 없다. 자신이 정말 하고 싶어하는 것에 몰입이 된다. 공부를 싫어하는 아이들은 공부에 몰입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하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어린이들 중에서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진짜 몰입은 공부가 아닌 자신의 꿈, 자기가 되고 싶은 장래희망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