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일기는 읽지마세요, 선생님 ㅣ 우리문고 13
마가렛 피터슨 해딕스 지음, 정미영 옮김 / 우리교육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요즘 엄마가 책을 너무 안 읽는다고 하시면서 나 한테 이 책을 읽으라고 추천해 주셧다. 그래서 나는 조금은 억지로 책을 받았다. 그런데 나는 이 책의 제목을 볼 때부터 재미있게 느껴졌다. 이 책 속에 있는 일기의 내용이 궁금해서 빨리 읽었다.
여긴엔 티시 보너라는 아이의 일기가 나온다. 티시는 엄마와 동생 매트와 살고있다. 아빠는 계시지 않다. 왜냐하면 아빠는 집을 나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젠가 아빠는 돌아온다. 아빠가 돌아온 집은 날마다 싸움이 끊이질 않는다. 티시는 그런 아빠를 미워한다. 자기 엄마를 때리고 맨날 싸우는 아빠를 미워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결국 아빠는 집을 다시 나가고 엄마마저 집을 나가버린다.
이 모든 일을 티시는 일기에 적는다. 그래서 티시는 일기를 쓸 때마다 거의 ' 읽지마세요, 던프리 선생님' 이렇게 써놓는다(티시네 반에서는 일기는 쓰긴 꼭 쓰되 개인적이거나 비밀스러운 내용을 쓰고 싶으면 일기 첫머리에 "읽지마세요"라고 토를 달아놓으라는 규칙을 정했다). 티시가 이렇게 일기에 자기 속사정을 털어 놓을 때 기분이 어땠을까? 아마 정말 답답할 것이다. 아무한테도 말할 수 없는 사정을 혼자 입 꼭 다물고 있는것. 나도 그럴 때가 있다. 친구가 자기 비밀이나 좋아하는 사람을 말하면 아이들에게 정말 말하고 싶다. 그런데 아무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은 비밀을 티시는 선생님에게 털어 놓는다. 아마 티시도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먹을 것도 없고 빚은 엄청 많고 이 힘든 것을 중학생이 감당하기엔 너무 벅찰 것이다.
세상의 어린이는 모두 부모와 함께 사는 것은 아니다. 티시가 바로 그런 처지에 있는 사람이다. 부모가 집을 나갔으니 사는게 힘들었을 것이다. 우리 주변에도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 있다. 눈을 크게 뜨고 둘러보면 가난한 사람들이 아주 많다. 하지만 우리가 도와주면 그들은 가난에서 벗어 날 수 있다.
그저께 나는 엄마와 같이 시내를 갔는데 백화점 앞에서 구세군을 보았다 . 엄마가 나한테 5000원을 주면서 자선냄비에 넣으라고 하셨다. 그래서 넣고 왔다. 이렇게 조그만한 사랑이 모이고 모이면 큰 사랑이 되어 불쌍한 사람들을 도와줄 것이다. 우리에겐 조그만한 것이 그들에게는 큰 것이 될 수 있다. 우리 모두 불쌍한 사람에게 차가운 눈초리 대신 따뜻한 손길을 내밀어 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