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평전 역사 인물 찾기 10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체 게바라라는 걸출한 인물에 대해 아주 희미하게나마 이해하게 된 것은 순전히 이 평전 덕분이다. 혁명가로서의 체 게바라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특히 쿠바 혁명을 위한 게릴라 전의 생생한 현장을, 그리고 그 이후의 여정을 이 저자가 아니었다면 어떻게 알았을까. 하지만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있다.  

 

그를 일컬어 '다양한 면모를 가진 인간'이라고 했던 피델 카스트로의 말마따나, 뛰어난 지성과 뜨겁고 순수한 영혼으로 혁명을 실천했던 체 게바라의 인생은 책 한 권으로 요약될 수 있을 만한 게 아니었다. (사실 평범한 사람의 인생도 간단히 정리할 수 없을 거라 생각된다.) 그의 행적은 복잡했고 광대했으며 한편으로는 비밀스럽기도 했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저자의 특별한 '관점'과 '해석'이 더욱더 필요한 것 같다.  

 

물론 평전은 객관적인 서술이 전제돼야 한다. 그 인물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한 쪽으로 치우친 평가를 내려서도 안 되고 삶의 일부분만 부각시켜서도 안 될 것이다. 하지만 평전 안에 무엇을 넣고 무엇을 뺄 것인가부터가 사실은 굉장히 주관적인 작업이고, 그래서 주관 속에서 최대한 객관을 유지하는 것 혹은 최대한 합리적인 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 평전은 체 게바라를 깊이 있게 해석해내는 작가만의 철학이랄까 해석이 좀 약해 보인다. 체 게바라의 행적과 주변인들의 기억, 평가, 그의 글 단편들을 잘 정리해놓기는 했지만 그 저변에서 체 게바라를 움직이게 했던 개인적 동력이랄까, 그의 철학과 시대정신에 대한 저자의 '이해'와 '해석'은 적었던 것 같다. 

 

또 한편으로, 당시의 경제적 정치적 이념적 세계상황이 별다른 사전 설명없이 곧장 제시는 점도 평전의 가독력을 매우 떨어뜨렸다. 낯선 상황과 용어 앞에서 독자로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데, 하나는 막연한 감으로 계속 읽어나가는 것이고(오독과 오해와 몰이해를 감수하고), 다른 하나는 책을 중간에 덮고 자료를 찾아보는 것이다. 어쨌든 글을 읽어나가는 데는 큰 방해 요소가 아닐 수 없다. 

 

한 사람을 깊이 있게 이해한다는 것은 어쩌면 애초에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사람들이 평전을 쓰고 읽는 이유는 뭘까. 특별한 한 인물의 삶을 통해서 개인의 삶을 더 이해하고 싶다는 욕구가 그 밑바닥에 깔려있는 건 아닌지. 그 인물이 속해있는 시공간적 좌표를 읽고 그 안에서 보편적 인간과 삶과 역사를 이해하고 싶다는 욕구도 있다. 체 게바라는 확실히 특별했던 사람이었다. 이상적이고 뜨거웠으며 명철했고 인간적이었다. 사람을 너무 이상화시키는 건 위험하고 어리석다. 체 게바라에 대해서도 이 점은 조심해야 할 것 같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특별했던 사람이 특별한 행적으로 인간이 나아갈 수 있는 지평을 더 넓혀놓았다는 점, 인간이 선량하고 정의로울 수 있는 한계를 더 확장시켰다는 점, 이것은 분명 체 게바라의 위대한 성취가 아니었나 싶다.

 

번역에 있어서도 약간 아쉬운 점이 있다. 번역하기가 정말 쉽지 않았을 것 같아서 아쉬운 점을 지적하기는 미안하지만, 그래도 두 가지만 얘기하고 싶다. 우선,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장들이 꽤 있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크게 보면 하나는 우리말 문장이 어색하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원문 자체에 담긴 정보가 우리에게 너무 낯설기 때문이다. 두 번째 원인은 번역의 두 번째 아쉬운 점과 연결된다. 체 게바라가 활동했던 시대와 장소는 지금의 한국 독자들에게는 아주 생소하다. 우리는 같은 서구문화권에 속하지도 않았을 뿐더러 당시의 남미 상황은 우리에게 거의 이해불가다. 따라서 꼭 설명이 필요한 부분들이 있었고 여기에 대해서는 역자 주를 붙일 필요가 있었다고 본다. 한 마디로, 독자를 위한 배려가 너무 없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