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가 책 정리하기 3탄: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아이들이 다 크고 이제는 영영 읽지 않을 어린이 청소년 책들을 서가에서 정리하자니 책들에게 미안해서 내가 읽을 요량으로 몇 권을 추렸다. 아이들 책들 중에 일부는 지나치게 단순한 면이 있기도 해서 열심히 읽는 편은 아니었는데 읽지 않고 정리해버렸으면 아까웠을 뻔했다."

 

안 읽었는 줄 알았는데 읽었던 기억이 난다. 다시 읽어서 좋았다. 

 

여섯 살이 채 안 된 아이, 제제의 세상은 너무나 선명하다. 아이는 자신을 둘러싼 현실과 사람들의 마음을, 그리고 자기 자신의 마음을 너무나 투명하게 들여다본다. 현실과 마음의 바닥은 깨끗하지 않다.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싶지 않아서, 혹은 정확히 볼 줄 몰라서, 대충 미화하거나 외면하지만 제제는 그럴 줄을 모른다.

 

제제가 묘사하는 어른들은 원래부터 나쁜 사람이 아니라 환경에 짓눌려 비틀어지고 신음하는 인간이다. 초등교사로 일하는 누구는 아이들을 교육하다보니 인간의 선함에 대해 회의적이 된다고 했다. 제제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 말에 수긍하고 싶어지기도 한다. 아이든 어른이든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어쩌면 기본적으로 악하게 세팅되어 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하지만 누구든 삶의 최극단에 몰리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발버둥칠 수 밖에 없는 게 아닐까? 제제를 이해하지 못했던 어른들을 두둔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은 외부적 환경에 너무나도 취약한 존재여서 일부러 제제를 괴롭힌 것은 아니란 얘기다. 그들도 어쩔 수 없었다.

 

그래서 제제만 아니라 그 주변의 어른들 모두 그리고 인간이라는 존재 모두가 안쓰럽다. 

 

지금 내 옆에 혹시 또 다른 제제가 있을까? 나는 그 아이를 알아볼 수 있을까?

그럴 마음만 있다면 충분히.

저 아이는 문제아야, 쟤는 질이 나빠, 못됐어, 라는 말을 듣는 아이, 나를 실망시키고 나에게 대들고 형편없고 바보 같아 보이는 아이, 되바라지거나 토라진 아이, 다루기 힘든 이 모든 아이들이 그냥 제제니까. 특별한 눈이 있어서 제제를 알아보는 게 아니라 그냥 모든 아이가 제제니까. 

 

나를 비롯한 우리 모든 어른들도 한때는 제제였다. 지금도 그 아이는 우리 안에 있다. 그러니 그럴 마음만 있다면 내 안의 그 아이부터 함부로 다루지 않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