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길 분도소책 2
마르틴 부버 지음, 장익 옮김 / 분도출판사 / 197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품절됐고(1977년에 출판)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도 드물다. 분도소책 시리즈로 나온 책인데 책 선정도 좋을 뿐더러 얇은 책이 주는 정감이 있어서, 이 시리즈가 중단된 것이 무척 아쉽다.  

 

원제는 <하씨딤의 가르침에 따른 인간의 길>이다.

하씨즘 Hasidism은 헤브라이어의 하씨드(경건한 자)에서 유래하고, 유대종교사상에 나타난 율법의 내면성을 존중하는 경건주의 운동이라고 종교학대사전에서 설명한다. 좁은 의미로는, 18세기 초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유대인들의 종교혁신 운동이라고 하는데, 성속일여를 주장한다고 한다.

 

1. 마음살핌

글은 하느님이 아담에게 "너 어디 있느냐" 고 물으실 때 아담이 "저는 숨었습니다."고 고백하는 대목을 가지고 시작된다.

 

이 물음은 사람을 깨우고 그가 숨은 세계를 깨뜨린다. 이 물음에 정면으로 응하느냐 아니냐는 인간에게 달려있다. 이 물음은 인간의 존재를 위협하는 천둥 소리로서가 아니라 '조용하고 작은 소리'로 들려온다. 

 

이 소리를 눌러버릴 때 우리에게 인간의 '길'은 열리지 못한다. 그렇다면 인간의 길이란 무엇일까? 마르틴 부버는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고 있다. 신실한 신자가 아닌 나로서는, 다만 그것이 하느님께로 '돌아섰을' 때 내 앞에 펼쳐지는 길이자 현실적 삶으로 이어지는 길이 아닐까 추측해볼 따름이다.

 

창세기에서 선악과를 먹고 아담이 숨어있을 때 하느님과 아담 사이에서 오고가는 저 대화는 어딘지 모르게 마음을 감동시키는 데가 있다. 인간의 호기심과 능력과 한계 그리고 신적 외경과 자비로움이 빚어내는 신비한 관계성을 생각해보게 만드는 풍경이다.

 

2. 독특한 길

 

'하느님을 섬기는 보편적인 길을 하나 가르쳐' 달라는 제자의 요청에 스승은 이렇게 답한다.

'사람들에게 어느 길로 가라는 말은 도저히 할 수 없네. 하느님은 배움으로 섬길 수도 있고 기도로 섬길 수도 있는가 하면 단식으로 섬길수도 있고 먹음으로 섬길 수도 있기 때문이지. 각자 자기 마음이 어디로 기우는지를 잘 살펴서 힘을 다하여 그 길을 택해야 하는 것이라네.'

 

그 길은 자신의 가장 강한 느낌, 가장 깊은 곳의 자아를 움직이는 것을 알아차림으로써 열리는 길이다. 오직 그 누구도 아닌 오로지 나만이 걸어갈 수 있는 길.

 

3. 시작은 자기로부터

옛날에 어떤 바보가 살았는데, 아침에 일어날 때마다 옷을 찾아 입는 일이 너무 어려워서 어느 날 밤에 자기 전 옷이 놓인 장소와 입는 순서를 종이에 적어놓았다. 이튿날 아침 그는 종이를 보면서 '모자'하고 읽으면 모자를 바로 찾아서 쓸 수 있었고 '바지'하고 읽으면 바지도 바로 찾아 입을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옷을 다 입었는데 마지막 한가지 때문에 당황했다. "자, 다 좋은데 나는 어디 있지?"

동서 고금을 막론하고 '나'를 찾는 일이 문제다. 그 전에 '나'가 무엇인지도 모르기 때문에 나는 지금까지도 헤매고 있다.

 

4. 자기는 그만 잊어버릴 것

사람은 각자 자기 마음을 살피고, 자기만의 고유한 길을 걸어가며, 자기로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역설적으로 자기를 잊어야하기도 한다. 자기를 출발점으로 삼되 목표로 삼지는 말라는 말이다. 자기를 파악하되 자기에 사로잡히지 말라는 뜻이다.

 

한 랍비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사람이란 생각이 가 있는 그곳에 자신도 갇혀 있고, 사람 영혼이란 생각하는 그곳에 온통 잠겨 있게 마련이므로, 그런 사람은 저열한 것에 머물고 있는 것이라고. 

 

잘못한 것에 대해 자책하느라 정신력을 낭비하지 말고, 그 힘을 세상과의 적극적 관계에 쏟으라고 하씨딤은 가르친다. 우리가 관심을 쏟아야 할 대상은 자신이 아니라 세상이라고. 

 

랍비 멘델이 회중에게 했다고 하는 이 가르침이야말로, 종교를 떠나 어떤 삶의 자리에서도 유익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가 할 일은, 자신 밖을 몰래 내다보지 말 것, 남을 몰래 들여다보지 말 것, 자기를 목표로 삼지 말 것!

 

일평생 '나'를 찾지 못해 헤매이지만 그 '나'는 내가 있는 자리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내가 있는 자리를 제대로 보려면 나는 떠나야하는 것 같다. 

오래 떠나 있다가 집으로 돌아왔을 때 비로소 발견하는 가장 나다운 진짜 나.

내가 나를 반기는 기쁨과 안도감을 아는 사람은 알 거라 생각한다. 

 

진정한 나를 알고 그 나에서 출발해서 나다운 길을 걸어가는 일은, 순차적이면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참으로 이상하고 정말 어려운 일이다.

 

5. 제 자리에서

이 책 마지막 장의 제목이다.

여기서 랍비 예켈의 아들인 랍비 아이식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아이식은 같은 꿈을 세 번이나 꾼다. 어떤 이가 꿈에 나와서 프라하의 왕궁으로 가는 다리 아래 묻힌 보물을 찾으라는 것이었다. 세 번째로 꿈을 꾸자 아이식은 정말로 그곳을 향해 길을 떠났다.

프라하 다리까지 간 아이식은 경비병 때문에 땅을 팔 엄두를 못 내고 있는데, 경비대장이 그를 보고 왜 그러느냐고 묻는다. 사연을 듣고 난 경비대장은 껄껄 웃으면서 자기도 비슷한 꿈을 꿨다고 했다. 꿈이 보물이 있는 장소를 일러주는 바람에 거기로 가서 땅을 팔 뻔했다고 말이다.

"그 유대인의 이름이 예켈의 아들 아이식이라나요. 생각만 해도 어이가 없죠. 거기 사는 유대인 중 절반은 이름이 아이식이고 절반은 예켈인데 집집마다 다니며 찾아헤맸을 생각을 하니, 참."

아이식은 그에게 인사를 하고 집으로 돌아가 화로 밑에서 보물을 파내어 교당을 세웠다고 한다.

 

보물이 있는 장소는 내가 있는 지금 이 자리, 여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