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딕, 불멸의 아름다움 - 고딕 대성당으로 보는 유럽의 문화사
사카이 다케시 지음, 이경덕 옮김 / 다른세상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이미 절판된 책이어서 도서관에서 빌려보았다.

고딕의 정신성은 한국의 문화에서는 완전하게 이해하기 어려울지 모르겠다.

완전히 다른 바탕에서 시작해 전혀 다른 식의 이야기결로 짜인 서구의 정신사를

다만 어렴풋이나마 알고자 하는 바람에서 읽었다.

 

유럽의 성당을 들어갈 때 느끼는 성스러운 느낌,

내 안에서 고양되는 -뭐라고 이름붙이기 힘든- 어떤 것이 있다.

그것은 어쩌면 문화의 바탕과는 상관없는

인류 보편적인 것이고

인간 본성에 닿아있는 것일지 모른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두려운 것, 성스러운 것, 아주 큰 것, 신비, 뭐 이 정도로 막연하게 밖에는

말할 수 없는 것인데.

 

 

저자는 고딕의 기본 정신을

자연(숲),

비이성적인 것 내지는 비합리적인 것,

개방성

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셋은 어쩌면 셋이 아니라 하나일 수도 있다.

자연은 데카르트의 철학처럼 철저하게 질서정연한 것이 아니다.

그것의 속성은 이성을 벗어난 것, 신비하고 감각적인 것, 두려운 것, 인간을 한없이 작고 약하게 만드는 것, 절대 완결되지 않는 무엇이기 때문이다.

 

고딕 성당이 민간신앙을 흡수하여

생성과 파괴의 모성신앙의 강한 기운을 건축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다.

중세의 그 엄격한 종교관 아래서

민간신앙의 노골적이고 이교적인 해학의 장이 펼쳐졌다는 것 또한 그랬다.

 

건축이나 문화에 대한 문외한의 입장에서는,

조선시대에 경직된 유교적 분위기 속에서도

탈춤으로 그 시대의 권위를 비웃던 하위문화가 존재했던 것처럼

아마도 중세에도 그런 것이 있었나보다, 유추해볼 따름인데,

조선시대의 그 해학정신이

유럽의 경우에는 건축으로 즉, 물질적으로 더 뚜렷하게 족적을 남겼다고 하겠다.

 

어쨌거나 문화사의 발전과정은 

개인의 정신을 이해하는 쪽으로도 어느 정도 힌트를 주는 것 같다. 

인간 안의 어두운 구석, 죽음과 성스러움, 파괴와 생성, 어둠과 빛, 광기와 이성,

무질서와 질서가

끊임없이 엎치락 뒤치락

태어나 죽을 때까지 씨름하며 이어지는 것이

개인의 정신사가 아닐까 싶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