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우튀프론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20
플라톤 지음, 강성훈 옮김 / 이제이북스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주 짧은 글이고

흥미로운 대화이며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가르쳤는지(가르쳤다기보다 함께 대화를 통해 앎을 향해 나아갔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아버지를 고발하러 가는 원고의 입장인 에우튀프론과

고소를 당한 피고의 입장인 소크라테스가

경건이란 무엇인가를 놓고 대화한다.

 

이 작품은 이 주제를 두 차원에서 접근한다.

하나는 경건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의 차원이고

다른 하나는 경건의 핵심인 '신'에 대한 논의의 차원이다.

 

경건을 정의해나가는 과정은 어떤 개념을 '정의하는 방법론'의 모범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에우튀프론은 신념을 가진 사람, 확신하는 사람인데

소크라테스는 그가 확신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를 돌아보게 만든다.

확신이 흔들리는 순간 에우튀프론은 "지금은 제가 어딘가를 급히 가야"한다고 도망친다.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를 확신하고 있고

확신하기를 원한다.

이것도 저것도 아닌 불확실한 상태는 사람을 불안하게 만든다.

하지만 확신하는 사람은 위험하다.

 

이 작품이 건드리는 다른 문제, '신'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마찬가지로 묻는다.

그 당시의 신에 대한 개념이 과연 의심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인지.

 

소크라테서의 묻고, 묻고 , 또 묻는 그 집요함이

나는 정말 신선했다.

이 작품은 결론을 맺지 못한 채   

에우튀프론의 갑작스러운 퇴장으로 끝나는데

이런 식의 글맺음을 나는 플라톤의 농담쯤으로 해석하고 싶다.

 

공교롭게 이 작품을 <논어>와 병행해서 읽었는데

<논어>에서도 이 작품과 겹치는 주제가 나온다.  

'아버지를 고발하는 아들'에 대해 공자는 말한다:

 

...정직은 그 안에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의 흠을 숨겨주는 것 안에) 있습니다...

 

소크라테스라면 묻지 않았을까, '무엇이 정직인가요?'

 

단순비교하기는 좀 위험하지만,

같은 문제를 놓고 대하는 동양과 서양의 태도를 보여주는 두 예가 참 흥미롭다.

문제를 검토하고

이야기를 하고

이야기에 관해 이야기하는

플라톤의 철학은 풍성하고 생기발랄하며

수신, 효, 충을 지향하는 공자의 세계는 정적이다.

동양과 서양의 정신은 이 두 사람에게서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나간다.

 

역자는 작품안내가 너무 길고 너무 어려워진 데 대해서 독자에게 양해를 구하고 있는데

전혀 그러실 필요 없으셨다.

역자의 안내가 없었다면

이 작품이 이렇게 재미있는 글인지 절대 몰랐을 것이다.

역자에게 감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