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과 부채인 우리 삶. 시간은 우리가 갚아야 할 이자 상환에 가치를 의미한다. 호주의 원주민들은 침략당하기 전 5만여 년 동안 물물교환으로로 돈 없이 생활을 했다. 돈을 탯줄을 자르는 가위, 금융의 힘은 공공선을 실현하며 활용 할수 있다로 보는 핀비즈, 현대 금융은 불평등과 불안정, 환경 파괴의 주범이 되고 있다. 아우구스투스는 16년 근속 시 연봉의 12배에 달하는 연금을 주어 군대의 충성심을 높였다고 한다. 우리의 연금은 DC확정기여형으로 은퇴자가 미래를 스스로 금융시장의 변동에 따른 위험을 부담해가며 수익을 낸다. 노동자의 이동성이 높을 수록 더 많이 선호한다. 금리는 돈의 가치다. 금융위기, 코로나 팬데믹, 기후위기에 많은 국가들은 국부펀드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익을 지키고 해외 자금의 의존도를 줄이고자 했고, 부자들은 주식과 채권을 선호하며, 현금과 부동산으로 안전하게 보관했다.
이책은 역사와 지리, 자산과 시장, 투자자와 투자, 중개와 기술, 도시와 중심지, 버블과 위기, 사회와 환경으로 금융을 설명한다. 관심이 많은 부분이 버블과 위기였다. 대출 채권의 가치가 급락하면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고, 우리 정부의 긴급 구제금융을 받아야 했다. 버블은 자산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이다.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면서 자산을 사들이고, 그 결과 가격이 지나치게 오르는 상황을 초래한다. 버블이 터지면, 자산 가격은 급락하고 많은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게 된다. 결국 금융 시스템에 큰 혼란을 초래하며 경제 위기로 이어진다. 요즘 살기 힘들다는 말을 날마다 듣는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3/pimg_755437185460258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3/pimg_755437185460258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213/pimg_7554371854602590.jpg)
1930년 대공황은 세계 경제에 깊은 충격을 주었으며, 어빙 피셔의 부채 디플레이션 이론은 자산 가격 하락이 부채 부담을 증가시켜 디플레이션을 가속화한다. 몇 일 전 저금리로 받은 주담대 금리가 변동금리로 전환되면서 이자 부담이 크게 증가했고 영끌들이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뉴스를 들었다. 대한민국의 아파트 경매와 공매가 쏟아지고, 강남의 아파트 하락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이러한 경제 이론들과 무관하지 않다. 과도한 대출 규제로 매물이 쏟아지며 경매 물건이 급증하고,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면서 시장이 불안정하다. 민스키가 설명한 금융 불안정성의 예시로 볼 수 있으며, 군집 행동으로 아파트에 투자자들이 집단적으로 과대한 반응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허세와 사치가 기본이 되는 우리 젊은 세대의 위기감을 볼 수 있는 현시점이다. 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리스크 테이킹을 자제하고,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불안정한 사회에서 정책 변화와 시장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필수다.
재미있는 부분은 돈세탁 방법이였다. 영화 "대부"처럼, 돈세탁과 같은 불법 행위는 결국 모든 것을 잃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범죄의 댓가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알카포네는 자신의 불법 수익을 합법적인 도박 수익처럼 보이게 하고, 자산을 교환하여 불법 자금을 다른 자산으로 전환해 추적을 어렵게 스와핑한다. 알카포네는 신뢰할 수 있는 인물들을 통해 자금을 분산시켰고 자금의 출처를 숨겨 위장했다. 결론은 법의 심판을 피하지 못하고 처벌을 받게 된다. 영화를 통해 우리는 법과 규제를 준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또 그렇게 사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준다. 불법 행위는 결국 정의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 나이가 들수록 욕심을 부리지
말고 마음을 비우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다. 항상 정직하게 법을 준수하는 삶을 사는 것은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