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으로 시작하는 초대 : 이재명 대통령 - 23개 질문으로 시작하는 이재명 들여다보기
남경우.김무영 지음 / 씽크스마트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질문으로 시작하는 초대 : 이재명 대통령(남경우,김무영, 씽크스마트, 2025)는 이재명 대통령을 중심에 두고 질문에서 시작하여, 질문으로 이어지는 책이다. 그러나 이 책은 정치 해설서나 평전이 아니다.대통령 이재명이 아닌, ‘인간 이재명에 대해 질문하는 색다른 시도이다.보기드문 질문형 교양서다.

우리는 보통 대통령의 이름 앞에 정치적 판단부터 앞세운다. 하지만 질문으로 시작하는 초대: 이재명 대통령은 정치적 색안경을 과감하게 걷어내고 이재명이라는 인물을 정치적으로 찬반하기 전에, ‘인간적으로 들여다보는시도를 제안한다. 예를 들면 대다수 국민의 눈높이에서 "이재명은 무슨 음식을 좋아할까?", "어떻게 가난을 이겼을까?", “이재명은 정말 경제를 살릴까?” 같은 25개의 평범한 질문을 던진다. 이재명 대통령 본인이 아니라, 우리 국민들을 대신해 두 명의 저자가 여기에 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다양한 질문을 통해, 그동안 이재명에게 씌어진 편파적인 프레이밍을 벗기고 언론에 의해 왜곡된 사실과 진실에 대한 검증의 결과를 엿볼 수 있다. 부록으로 붙인 21대 대통령선거 이재명 공양목록도 눈여겨 봐야 한다. 후보토론회 등 여러 자리에서 정확한 팩트 위에 소신있게 발언한 이재명의 정책의 전모를 알 수 있는 가치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5, 이재명 정부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를 미리 엿볼 수 있는 힌트북이 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쓸모 있는 주역 - 월요일에 모인 우리들의 주역 이야기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18
김세희 외 지음 / 씽크스마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역(周易)이란 글자 그대로 주()나라(BC 1111년경~256년경) 시대의 역()을 말한다. 천지 만물이 변화하는 궁극의 원리를 밝히고, 변화에 대처하는 인간의 처세를 담은 책이 주역이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으로 원래는 인생의 길흉화복을 점쳐 앞일을 대비하는 점서로 활용하였다. 주역은 우주의 변화와 운행(運行)에 관한 책이며, ()와 자리()가 만들어내는 관계의 예술로 중국 인문 전통과 중국 문명의 우주론의 전모를 드러내는 책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주역하면 일단 고루하거나 어렵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하지만 쓸모 있는 주역(씽크스마트)은 다르다. 생활밀착형 실용학문으로 접근하는 책이다. 대학강단이 아닌 집, 직장, 거리 등 우리 일상에서 주역을 공부하며 주역 이라는 고전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고 주눅들지 않고 공부한 2년 반의 흔적이 생생하게 담겼다. 주역 64()에 담긴 지혜와 통찰력을 배워 '()' 있는 사고와 행동을 나누는 책이다. 나이와 성별은 물론 직업도 다른 21명의 학인이 일주일에 한번씩 인사동 수운회관에 있는 꼬레아아테나고등교육원에서 주역을 공부하고 올해 초에는 주역 발상지인 중국 허난성(하남성)으로 답사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쓸모 있는 주역주역에 관심은 있지만 배우기가 엄두가 나지 않았던 주역초보자는 물론, 주역을 공부하다 그 난해함에 포기한 경험이 있는 사람 등 주역에 관심있는 누구나 한번쯤 펼쳐보며 고개를 끄덕일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쓸모 있는 주역 - 월요일에 모인 우리들의 주역 이야기 더 생각 인문학 시리즈 18
김세희 외 지음 / 씽크스마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활밀착형 쓸모있는 주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령에서 살아보기 - 신중년 11인 고령의 생활인구가 되다 여행처럼 시작하는 지역살이 가이드북 4
패스파인더 지음 / 퍼블리터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령에서 살아보기>2023년에 사회적기업 패스파인더가 주관한 고령 살아보기 탐색과정을 통해 고령을 다녀온 신중년 11명의 고령 탐색기이다. 지난 2020년 발간했던 남원에서 살아보기, 2022년 발간했던 강릉에서 살아보기, 2023년에 발간했던 인제에서 살아보기에 이은 여행처럼 시작하는 지역살이 가이드북시리즈의 네 번째 책이다. ‘고령 살아보기 탐색과정은 경북-고령의 생활인구 사업 ‘1시군-1생활인구 특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생활인구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 정주인구(定住人口, 주소를 정해 거주하는 인구)뿐만 아니라 통근·통학·관광 등으로 그 지역에서 체류하며 지역의 실질적인 활력을 높이는 사람까지 그 지역의 인구로 간주하는 새로운 인구 개념이다.

 

신중년 11인 고령의 생활인구가 되다라는 부제처럼 11명의 신중년들은 고령의 역사와 문화 예술, 지역 비즈니스, 귀농과 귀촌, 마을 기업과 사회적 경제 등 네 가지 주제로 나눠 일과 활동을 탐색하고 고령의 사람들을 만났다. 개실마을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종택을 지키는 종손, 가야금을 만드는 명장, 빈집을 수리하며 고령을 바꾸어가고 있는 청년, 시골에서 작은 영화관을 만들어가는 영화인 등 다양한 사람책을 만나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고령을 찾은 신중년들은 단순한 여행이나 관광을 넘어 지역과 인연을 맺고 지역 문제를 함께 풀어보려는 지역 팬슈머(fansumer)를 지향한다. 팬슈머는 (fan)’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소비자가 단순히 구매만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팬의 입장에서 제품의 생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가 직접 투자하거나 제조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상품과 브랜드를 키워내는 것이다. 책에는 신중년들이 가진 전문성이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지역의 마을, 청년과 만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법도 함께 고민한 흔적이 담겨있다. 중장년 입장에서는 인생 2막의 새로운 활동 무대를, 지역은 새로운 인적자원을 얻게 되는 셈이다.

 

<고령에서 살아보기>는 물질 자본, 발전과 개발, 승자독식, 제로섬 게임의 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많은 폐해를 사회자본, 삶의 질, 신기술, 그리고 지역 자본으로 더 잘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지역 자본(local capital)’이라는 말은 비단 물질 자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자본, 네트워크 자본, 로컬 인력 등을 포괄하는 매우 포용적인 개념이다. 로컬 기획자 박우현이 기획회의602호에서 말한 구절을 그대로 옮겨본다. “로컬은 지역성이 아니라 방향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로컬은 삶의 대안이라기보다는 삶의 태도에 가깝다. --- 그러므로 로컬이란 삶의 전환이 가능한 영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발칙한 인생 후반전 - 조금은 다른 삶에 용기를 더한다 은퇴 후의 삶이 더욱 뜨거워진다!!
박호영.허성희 지음 / 어나더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2막에 대한 간증기! 인생후반전에 대한 유용한 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