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토끼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7
존 업다이크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존 업다이크' 그 이름은 기대와 설레임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단숨에 읽어 내진 못햇다. 이유를 말하자면 작가의 문장, 특히 장소의 묘사를 서술하는 문장이

 

시각적 이미지로 쉽게 연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역자의 잘못이 아니라 순전히 언어의 차이에서

 

오는 낯설음 때문인 것 같다. 꼭 한번 영어 원서로 읽어 보고 싶은 이유중의 하나이다.

(물론 사전 뒤적이다 정서적 흐름이 문맥을 따라가지 못하고 헤메일께 뻔해 보이지만...)

 

이 책의 결말 부분 (P402)을 보면 '왜 나는 나인가?'라는 실존적 질문에 앞서 '왜 어떤 사람은 여기서 사는가?'

 

라는 공간적 제한성이 우선시 된다. 그러므로 주인공 래빗이 가출과 외도를 반복하는 궁극적인

 

원인은 자신의 좌절된 꿈 (농구선수)과 한심한 가정생활 (알콜중독자 아내)에 기인하지만 주인공 래빗의

 

심리적/정서적 혼돈은 실제적인 사건이나 경험보다는 오히려 장소에 대한 지나치리 만큼 세세한 묘사에

 

의해 표현되고 있다. 특히 가족들간의 불안한 유대 관계는 직접적인 대화나 사건에 의존하기 보다는 

 

공간이 가족 구성원들의 삶을 구속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 하고 싶다. 그리고 좀 다른 차원의 문제이지만 누구나

 

한번 쯤은 길을 걷다가, 또는 운전을 하다가 아무런 이유 없이 - 물론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왜 그 장소, 그 시간 이어야만 했는지 설명할 수 없는 - 다른 길로 빠지고 싶은 일탈의 유혹을 느낄 때가 있다는

 

점도 같은 맥락이 아닌가 싶다. 물론 대다수가 대수롭지 않게 포기하게 되지만 말이다.     

 

 

이 작품이 역자의 생각처럼 종교적 믿음이 빠져버린 미국 소도시, 중산층의 몰락과 동요, 불안에

 

대한 실존적 탐구에 대한 작가의 문학적 출발일 수 있다. 하지마 이 주제를 담아내기에 그의 문장은 너무

 

아름답다. (번역은 이점에 충실하다) 

 

다시 말해 업다이크의 심미적이고 유미적인 문장으로 인해 래빗의 행위는 비난의 대상이 아닌 인간으로서

 

피할 수 없는 태생적 약점에 대한 연민이며 자유에 대한 열망으로 해석 된다. 이는 신을 대변하는 목회자 에클스도

 

동의하는 관점이다.

 

 

결론적으로 이 소설은 인간의, 특히 자유에 대한 열망과 사회적 도덕/책임 사이에서 갈등하는 꿈을 잃어 버린

 

젊은 세대에 대한 연민이며 사랑이다. 물론 래빗 (=해리)의 반복적인 무책임은 짜증 나는 일이지만 우리 마음 한

 

구석에 뜨금한 부분은 없는 지 한번 돌아 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