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의 온도 (100만부 돌파 기념 양장 특별판) - 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
이기주 지음 / 말글터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종종 아 다르고 어 다르다고 말한다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감정의 차이가 크다.
심지어 말 한마디로 천냥빚을 갚을 정도이니 말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말과 언어의 차이는 뭘까?
말은 입말을 언뜻 떠올릴고 언어는 쓰는 말이 먼저 떠오른다. 물론 언어에는 입말에도 쓰이는 표현이기는 하다.
글과 말은 많이 다르다
눈으로 보는 글과 귀로 듣는 말은 정말 다르다
물론 글에서도 감정이 느껴지기는 하지만 듣는 말 만큼 감정을 그대로 받아지지는 않는다
글은 다듬고 또 다시 다듬을 수 있지만 말은 그렇지 못하다 한번 뱉으면 끝이다
아니 요즘은 말도 연습하고 다듬어 감정이 느껴지지않는 경우가 많다
입으로는 말하면서 웃고 있지만 눈이나 표정 행동으로는 전혀 웃지 않는 말을 종종 듣는다.
결국 온도차를 느끼는 것은 말 그 자체가 아니라 전달해주는 태도와 뉘앙스인것이다.
문자메시지가 대세다
전화통화보다는 문자메시지를 더 많이 사용한다
어떤 사람은 문자로는 서로 오해가 생기기 쉬어 싫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문자가 더 편하다
통화역시 본심을 숨기려고 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문자는 그래도 고치고 수정할 수 있어서 그러는 동안 감정들이 정제되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통의 오해는 어떤경우라도 심지어 얼굴보고 만나는 자리에서도 생긴다. 더 깊어지는 경우도 있을것이다.
내 경우엔 그랬다.
아다르고 어다른데
내가 하면 로맨스고 남이 하면 불륜이라고
그 온도차를 줄이려는 노력
진정성있는 언어의 사용
힘들고 어려운 일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듣고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경향이 있으니까 뭐라 말해도 결국 결론은 듣고 싶은 말만 듣는다
실질적 문맹룰이 높은 이유일것이다.
책 자체로는 좀 아쉬운 점이 많았다
언어자체의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후반으로 갈 수록 일반 에세이같아 심심하다고나 할까..
몇군데 추천해 주었는데 그 분들은 너무 좋았었다고들 하니 그것으로 다행이다싶기도 하다
요즘처럼 자기말만 하는 시대
귀가 너무 아프다
가끔은 아무말도 하고 싶지도 듣고 싶지도 않다
언어의 홍수에 피로감이 든다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