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나 해서 그래도 혹시나 해서..
보러갔다.
같이 간 사람들 아니면 보지 않았을 텐데

덕혜옹주

소설은 신파.
영화는 판타지.

요즘 유행하는 말이 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배우가 개연성이라는 말.
연출이나 내용은 별로 인데 연기발로 드라마가 만들어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말이다.
덕혜옹주는 손예진이 개연성이었다.
손예진이 아니었다면 이정도의 설득력을 가지고 왔을까 싶다. . 다른 배우들이야 익숙한 역할들이어서 당연한 것이었으니까...
극에서 신뢰감을 주는 배우의 역할을 다시 제대로 느낌..

독립운동씬 -솔직히 독립운동도 아니지만 관계되어있으니까 그런다고 하고 -은 여러번 들어서 그려러니 하고 봐서인지 안타까울뿐이었는데..
제대로 뒤통수를 친것은 내게는 마지막 엔딩이었다.
장한과 덕수궁에 앉아 사이다를 마시면서 자신은 옹주로서 자격이 없다는 것. 국민의 희망이 되어주지 못했다는 회한의 말..
잠깐만... 잠깐만...
독립운동씬보다 더 기분이 쎄해지는 대사..
과연 그들이 왕족으로써 저런 생각을 하기는 했을까?
물론 나도 그들에 대해 아는것이 많지는 않지만..
소위 말하는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가지고 있었을까?
의문이다.
어지간하면 그들의 비참한 최후에 동정심을 가지는 것이 인지상정인데 왜 그정도의 최소한의 인간으로서의 동정심. 연민마저 없애려고 하지?
울컥하다가 그 대사듣고 팍 깨져버렸다.
나오면서 정말 엔딩은 아니야.. 진짜 아니야...

영화를 시작할때 덧붙여 줬음 좋을뻔했다.
이 영화는 감독의 희망사항을 영상화한 작품입니다라고... 그때 조선의 왕족들이 저정도는 저정도 역사의식은 가져줬어야 했다고 생각한다고
허진호감독는 생각한걸까?
궁금해지더라는...
그들의 행적에 대해서는 조금만 조사해도 나오는 것인데..

음..... 역사에는 만약이 없다고 하지만 그들이 저정도만 해 줬어도.. 우리의 현재가 조금이라도 달라졌을까?
드라마 구르미 그리는 달빛을 보면서 효명세자를 알게 되고서 실제 순조보다 효명세자가 조금만 오래 살았다면 이후의 조선이조금은 달라졌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영조. 정조..효명세자...






하지만 역사에는 만약이 없다.
그렇다.
지금이 현실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8-30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왕실이 그럴 수 밖에 없을 겁니다. 민중들과는 철저히 괴리된 별개의 삶이었고..나라가 망해도(정확히는 일본제국과 합병)되었으니 왕실의 권한은 사라져도 신분상의 왕가로 일제의 관리하에 들어갔으니까요.특히 왕가라는 상징성 때문에 신분상의 권한없는 이미지는 이어졌던 역학적 관계에 놓였을 겁니다. 예를들어 러시아경우는 짜르왕가체제가 국민들로 부터 혁명의 숙청대상이 직접되었으니 집안자체가 전부 몰살의 역사를 걸었던 것과는 상당한 대비가 되는 부분입니다.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가 볼세비키 혁명으로 막을 내리죠..그게 1917년인가 1918년인가 그랬을 겁니다.... 역사 판타지는 역사가들에게는 상당히 짜증났을 겁니다...

지금행복하자 2016-08-30 12:16   좋아요 0 | URL
왕조에 환상이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어요. 이완용측에 모든 책임을 몰아주고 왕족들에 대해서는 면죄부를 주려는 듯한 느낌마저 들었어요. 조선의 왕조몰락은 서양하고는 많이 다른데.. 차라리 우리손으로 왕조를 끌어내리는것이 낫지.. 뭘 기대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왜 지금 이 시점에 저런 영화가 나와야하는지.. 그분께서 이씨왕족들 국내입국을 허용한 씬이 나온던데.. 그래서인가? 하고 잠깐 생각했었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6-08-30 1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라 파는 조건으로 고종이 원한 것은 월급이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금사금인가 뭔가 해서 연봉으로 일본으로부터 돈을 받았던 것으로..

지금행복하자 2016-08-30 12:19   좋아요 0 | URL
절대 백성을 생각하고 나라를 생각한 군주는 아니었던거죠.. 명성왕후도 그렇고..... 특히 우리나라처럼 극에 몰입도가 높은 나라는 정말 조심해야할듯 합니다. 관객수 느는것 보고 더 놀라고 있습니다. 더이상 역사미화 이런 기사도 안 보이고..

곰곰생각하는발 2016-08-30 1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요, 다 자기 살 구석 욕심내서 그러다가.... 그리 된 거지, 무슨 애국 따위 그런 것은 쌀 한톨의 크기도 되지 않을겁니다. 전 구한말 왕조를 측은한 마음으로 보는 것에 대해 반대입니다..ㅎㅎㅎㅎㅎ

지금행복하자 2016-08-30 12:32   좋아요 0 | URL
ㅎ 단호하시군요. 저도 비슷한 입장입니다. 나라를 팔아먹은 책임을 묻는것이 먼저인데.. 동정심부터 유발시키고 이제는 미화까지..
역사공부 다시 시작해야겠습니다. 멘탈 단디 챙기려면.. ㅎㅎ

yureka01 2016-08-30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참 위 답글에 보니 명성왕후가 잠깐 보여서,,제가 알기로는 사치가 상당히 심했던 걸로,,,국고 탕진도...그런데 내가 조선의 국모다? 라는 이미지는 덧칠되었던 건 아닌가 싶습니다....나라가 망하는데 일신의 부귀영화는 조선의 기득권 세력이라면 일부를 제외한 모든 권력자들의 한결같은 모습이었죠.. 어느 역사가이던가요.. 국가의 패망은 내부적으로 망하는 길을 스스로가 제촉되기도 하였다고 서술했거든요. 백성들의 삶이야 뭐 말할 것도 없었겠지요...결국 국가의 부강은 국민들의 부와 직결되는 스위치라서요....

지금행복하자 2016-08-30 12:50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이미연이 잘못한거죠 ㅎㅎ 여기에서도 배우가 개연성을 가져버린겁니다... 일본인의 칼에 맞았다는 사실하나로 모든 패악들이 묻혀버렸고 거기에 한 몫 한것이 드라마이고 뮤지컬인듯 합니다. 냉정해져야 하는데 자꾸 감정적인 부분들만 부추키는것 같아 좀 화가 나는군요~

기억의집 2016-08-30 1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승만이나 고종이나 도찐개찐이네요. 영화는 소설을 그대로 재현한 건 아닌가봐요?

지금행복하자 2016-08-30 21:07   좋아요 0 | URL
더 안좋은 각색인듯해요. 제기준으로 , 소설은 통속소설로 대중소설로 정말 소설처럼 읽히는데.. 영화는 담담하고 나름 진중한 맛을 주고 있어 진실처럼 보여요. 연출의 힘. 연기력이 만나 설득력을 가져버린거죠~~
아마 소설 그대로 하면 kbs1 에서 하는 아침드라마 느낌이 들었을 것 같은데.. 영화는 너무 잘 만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