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이 쓰여진지 6년이 지났다
그 때와 달라진 것이 없다
하긴 내가 학교 다닐 때와도 달라진 것이 없다
더 지독해졌다
끔찍해졌다
내가 학교다닐때는 교복을 안 입어서 그랬는지 감옥에 가는 기분은 안들었는데 요즘 아이들은 탈옥이라는 표현을 과감하게 쓴다...
나는 탈옥이 아니라 형기마치고 나가는 출소 같은데~ 라고 염장을 지른다 ㅋㅋㅋ
성장소설은 불편하다
현실은 지옥인데
작품에서는 지옥을 그리고 있는데 희망을 이야기한다
근데 그 희망이 거짓희망같다
그 희망마저 강요하는 것 같다
정해진 희망같다.
꼭 희망으로 포장하는 기분이다
해피엔딩도 불편하고 언해피엔딩도 불편하다
6년후에 읽는 성장소설은 좀 달라졌으면 좋겠다
보니 상 받은 작품이다..
블루픽션이 상 이름이구나.
좀 냄새가 났었는데 역시나...
상 받을 만하게 잘 썼다. 재미도 있고
적절한 감동도 공감도 잘 끌어내고 있다.
일단 잘 읽힌다.
그래서 더 비현실적으로 느껴졌을까?
기억나는 장면이 있다
이경이라고 ngo단체에서 시민활동가 부모를 둔 아이이다.
당당하고 똑똑하고 딱 부러지는 아이이다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결정하고 부모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그 부모가 이경이에게 한 말이다.
그 학교가 너에게 맞지 않는 학교라는 것을 알지만 적응못할것이라는 것도 알지만 그만두라는 말을 못 했다는..
학교에 남는 것도 상처이지만
학교 밖도 다르기 때문에 상처가 될 수 있을것 같아서라고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소위 제도권내에 순응하지도 못하면서 과감히 거부하지도 못하는 우유부단한 내 모습..
아이가 선택한다면 동조는 해 주겠지만..
그 적당한 합의점이 인가 대안형 특성화고였으니..
요즘은 이 마저도 성적순이라고 하니..
나의 비겁함이 속이 비쳐진 순간
거부당했다 ㅎㅎ
가끔 생각한다
청소년 작가들은 알까?
자신의 작품이 아이들 보다는 엄마들이 더 많이 읽힐지도 모른다는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