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발렌타인을 봤다.
꿀꿀해질 각오를 하고..
생각보다는 덜 가라앉는듯..
나이 먹고 결혼을 해봐서 그런가??
줌파 라히리의 일시적인 문제 와도 연장선에 있는듯.
결혼이란 뭘까.
항상 고민하는 부분이다.
나 자신이 소위 전통적인 의미의 결혼과는 맞지않다고 생각하고 있어서일수도..
나는 그 누구보다 일단 `나`가 먼저이고 내 만족이 먼저이다.
내가 행복해야 다른 사람도 행복할수 있다.
가족도 남이다.
- 너무 단정제인가? 나 자신은 결코 아니니까 남이긴 하다.
내 속으로 낳은 내 자식도 내가 아닌데...
넘의 자식이 내 남편이 되었다고 내가 되는건 아니니까~
일단 남이다. -
가족은 합집합이 아니라 최소한의 교집합으로 살아야한다.
그래도 나름 지금은 잘 살고 있으니까
아직은 이 결혼관. 가족관이 이해가 되어지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우리 가족 내에서는..
결혼.
분명 사랑해서 결혼을 했고
같이 살수 있다고 생각을 해서 결혼을 했는데
이전보다 더한 외로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 결혼인듯 하다
둘이어서 좋은 것도 있지만
둘이어서 더 외로운것도..
어디서 어긋났는지도 모르고 사는 것이 결혼이라는 생각을 한다
어긋났다고 생각하는 순간
결혼은 파탄의 시작이 아닐까..
어긋남을 다시 되돌리려면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어려우니까~~
어긋나기 이전에 노력해야하고
어긋난 결혼은 억지 봉합하려하기보다는 원하다면 놔 주는 것도 사랑의 방법일수 있다
영화속의 딘이 그랬고
일시적인 문제의 슈쿠마가 그랬듯이...
우리가 하기 어려운 결정들.
사랑하지만
상황을 견디기 힘들기 때문에 헤어질수도 있는 것.
사랑해서 그사람의 단점까지도 봐 줄수 있다면
사랑하니까 놔 줄수도 있는것이다.
사랑은 같을 수 없고 어느쪽이든 더사랑하는 쪽이 손해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만날수도 있고
그대로 헤어지면서 그 사랑을 추억하게 해주는 것도 사랑의 한 방법이 아닐까
힘들어하는 사람을 보는것은 결국 스스로까지도 힘들어지기 때문에..
사랑은 소유가 아니다.
사랑은 집착이 아니다.
사랑은 강요가 아니다.
남녀의 사랑은 아니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난 그렇다.
밀당도 싫다
강요도 싫다
나 싫다는 사람도 싫다.
사랑은 자연스러운 물 흐름이다
머물수도 흘러갈 수도 있다.
그 때 머문 그 사랑이 소중할 뿐이다
포스터들이 참 이쁘다.
* 지금 읽고 있는 책들중 하나 무레요코의 남자의 도가니 에 결혼에 대해 나와 비슷한 생각인듯 한 글이 있다.
결혼 생활이라고 하면 처음부터 자신의 조건에 맞는 사람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지만 현실에서는 그와 같이 용오나 연령등 조건을 달지 않고 스트라이크 존을 향해 있는 힘껏 넓혀나가는 가운데 우연히 자신과 궁합이 맞는 상대를 만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 131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