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행동경제학 - 숫자로 움직이는 부동산, 심리로 해석하다
최황수 지음 / 원앤원북스 / 2025년 8월
평점 :

포모(Fomo),
두려움, 고립공포감이라는 의미로 마케팅에 사용되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주로 사회 병리학적
현상을 표현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누군가는 소유하거나 행동하고 있는데 자신만 하지 않아 뒤쳐지는 현상에
소외, 공포감을 느끼고 무작정 따라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쓰이기 때문이다. 특히 경제학적 관점에서 이 단어가 많이 사용되는 것은 남들 따라하는 ‘묻지마
투자’의 유행을 정의하기 위해서이다.
거주지
이상으로 자신의 자산증식의 대표 투자로 생각하는 부동산. 사람들은 자신이 지극히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면에서 신중한 투자처를 정하고 매수, 매도를 한다 생각하지만 지극히 편향적이고 주관적인 관점에서 ‘묻지마 투자’를 하는 것이 일반이다.
왜냐면 시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감정에 휘둘려 조기 매도로 인해 손해를 보거나 변동성에 흔들려 조기 매수로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왜 비이성적인 선택을 하고 후회를 하는 것일까? 자신만
재수가 없어서? 경제 흐름을 읽지 못해서? 아니다. 이는 심리적인 영향과 인지적 오류로 인해 잘못된 선택을 하기 때문이다.

행동경제학. 인간은 절대 합리적이 않고 제한된 합리성과 심리적 편향에 의해 경제적 선택을 한다는 설명의 학문인데 행동경제학은
심리학, 사회학, 사회과학 측면에서 인간의 행동을 분석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 원리를 통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는 금융시장의 정책을 결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행동경제학은 부동산에서도 우리의 선택의 근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투자하는
사람들은 읽은 책도 비슷하고 부동산 공부방법도 비슷한데 왜 시장에 대한 해석은 엇갈리고 이는 이익과 손해라는 다른 결과로 다가오는가. 경험치와 상황이 다른 것보다 행동경제학측면에서 본다면 이는 정보편향, 감정적영향, 시장편향, 리스크 회피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시장 세세하게 분석을 해도 선택적으로 수집하고 해석하며,
경험에 기인하여 자신의 생각이 절대적이라 믿으며 특정지역에 편중을 둔다. 그리고 자신이
아는 지역이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주 언급되더라도 모르는 지역이라면 과소평가를 한다. 종국엔
자신의 전망이 틀리는 것을 두려워 하여 보수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선택을 독려한다. 이것이 행동경제학
측면에서 보는 실패하는 부동산 투자자들의 현실이다.

정부의
정책과 시장의 시그널 그에 따른 우리의 결정적 요소에 미치는 심리를 책은 말하고 있다. 앵커링, 다크패턴, 휴리스틱, 넛지이론, 프레이밍 효과등 정책과 정보에 반응하는 우리의 경험과 습관, 그리고
선택으로 이어지는 매수매도. 하지만 깊은 후회를 남기며 다시금 경험치에 기인해 선택을 하고 좌절의 반복을
거듭한다. 책은 부동산학을 전공하고 관련 교수로 일하는 저자가 부동산 컨설팅으로 인해 사람들이 범하는
오류와 비합리적 행동에 대한 심리적 요인과 전략을 짚어 보며 행동에 대한 기준과 원칙을 말하고 있다. 변동성과
정부 정책의 변화가 아무리 심하더라도 흔들리는 않는 원칙이 있으면 후회 없는 투자와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이다. 자신의 선택에 앞서 행동경제학 측면에서 심사숙고하여 통찰력 있게 상황을 파악한다면 우리의 부동산 투자는 필패가
아닌 불패의 투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 책은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 출판사로부터 무상 제공 받아 작성한 솔직 서평입니다 -